전세기 미국에 날아갔는데… 한국인 석방 왜 늦어지나

-공항 호송 방식에 이견 가능성… 조현-루비오 면담도 하루 늦춰져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현장에서 체포·구금된 우리 국민 300여명의 국내 복귀가 늦어진다. 10일 외교부는 당초 예정이었던 현지시 10일 오후(한국시간 11일 오전) 출발은 미국 측 사정으로 어렵게 됐다고 알렸다. 사진은 구금된 국민들을 태울 대한항공 B747-8i 전세기가 1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이륙을 준비하는 모습. 뉴시스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들을 데려오려던 전세기의 출발이 지연되고 있다.

 

외교부는 10일 “조지아주에 구금된 우리 국민들의 현지시간 10일 출발은 미국 측 사정으로 어렵게 됐다”며 “가급적 조속한 출발을 위해 미 측과 협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조지아주 한국 기업 공장에서 체포·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은 자진 출국 형식으로 현지 시간으로 이날 오후 전세기편으로 출발할 예정으로 애초 알려진 바 있다.

 

이 스케줄에 맞춰 대한항공이 운용하는 전세기는 이날 오전 인천공항을 떠났고 현재 미국을 향해 날아가는 중인데 갑자기 상황이 바뀐 것이다. 외교부는 미 측 사정이라고만 했을 뿐 자세한 이유는 공개하지 않았다. 현지시간이 새벽이라 외교부 본부에서도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다만 앞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전날 구금 장소와 전세기가 내릴 애틀랜타 공항 간 이동과 관련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한 바 있어 이와 관련해 한미 간 이견이 생겼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당시 김 실장은 “버스로 모시고 올 때 현지 법 집행 기관이 고집하는 방식이 있다. 손에 뭘 어떻게 하고, 구금을 하는 등”이라며 “절대 그런 것을 하지 않는다는 것까지 하나하나 마지막 행정절차 협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에 미국 영토 내에서의 호송 절차에서 구금 인원을 결박할지 등 미 이민 당국의 법 집행 실무 관행이 협상의 발목을 잡았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별히 이견이 있는 사안은 없지만, 수백 명에 대한 석방 절차다보니 단순히 행정절차를 마무리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하기 때문일 가능성도 있다.

 

자진 출국이냐 추방이냐, 재입국시 불이익 여부 등에 대해 한미 간 논의가 마무리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하지만 외교부가 미 측 사정이라고 한 점으로 볼 때 이럴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미가 구금 사태 관련한 협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서로 의견이 갈린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은 또 있었다. 협의를 위해 긴급 방미한 조현 외교부 장관은 애초 현지시간으로 9일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과 면담할 것으로 안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전했지만, 양측 면담은 10일 오전으로 미뤄졌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