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금융위원장이 15일 금융감독 체계 개편과 관련해 “중복적인 감독 부담과 복잡한 행정체계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8개 금융지주회사 회장 간담회에서 “현행 통합형 감독체계에서 벗어나 정책과 감독이 분리되고 건전성 감독과 소비자 보호를 전담 감독기관이 맡는 다층적 체계로개편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이 위원장 취임 후 첫 공식 행사다. 이 자리에는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찬우 농협금융지주 회장, 황병우 iM금융지주 회장, 빈대인 BNK 금융지주 회장,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 위원장은 “이번 감독체계 개편이 과거 회귀가 아니라 정책은 보다 정책답게 감독은 보다 감독답게 기능하고 건전성과 소비자 보호의 상충을 해소하는 미래지향적 개편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금융 정책·감독 기관이 4곳으로 늘어나면서 중복적인 감독 부담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생산적 금융, 소비자 중심 금융, 그리고 신뢰 금융 등 금융 대전환 방향도 제시했다. 이 위원장은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금융의 방향 전환이 시급하다”며 “금융의 새로운 역할을 위해 정부, 업계, 유관기관의 ‘원팀’ 정신이 중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금융지주 회장들은 금융 산업이 효율적 자원배분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함으로써 생산적 금융 확대, 나아가 경제 재도약을 뒷받침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한 원활한 생산적 금융을 위해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에 적용되는 위험가중치(RWA) 완화 등을 건의했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