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과 경기의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냉각되고 있다. 조정대상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되면서 매매와 전세 모두에서 ‘매물 잠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자 매도자와 임대인이 관망세로 돌아서며 거래량이 급감했다.
26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지난 25일 기준 서울의 전세 매물은 2만4898건으로 2년 전 같은날의 3만2242건 대비 22.8% 줄었다. 특히 노원구(-55.1%), 중랑구(-54.6%), 도봉구(-51.8%), 금천구(-51.3%) 등 서울 외곽 지역 전세 매물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경기지역의 전세 매물 감소율은 서울보다 약 2배 높은 44.6%였다. 규제지역 37곳 가운데 아파트 매매가 및 전·월세금이 가장 저렴한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는 이 기간 전세 매물이 982건에서 278건으로 71.7%나 줄었다. 집주인들이 전세를 실거주나 월세로 전환하면서 공급이 급감한 것으로 보고 있다. 매물 부족이 이어지면서 시장의 유동성이 급격히 떨어졌고 전세가 상승 압력도 커지는 상황이다. 특히 서울 외곽과 수도권 중저가 단지에서 전세 품귀가 두드러진다.
또한 최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5%, 전세가격은 0.06% 상승했다. 거래 감소와 매물 부족이 맞물리며 시장 불균형이 지속하는 양상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 품귀로 보증금이 단기간 수천만원 오르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서울 외곽과 수도권 중저가 단지에서 전세난이 심화하며 실수요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매물 감소로 선택지가 줄고 보증금 인상 압력까지 겹치면서 체감 불안이 확산하는 양상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 대신 월세 계약을 유도하는 사례도 늘고 있어 임차인의 비용 부담이 단기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투기 억제와 시장 정상화’로 설명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단기 거래 위축은 불가피하지만 실수요 중심의 시장 질서 확립이 목표”라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규제 일변도의 접근만으로는 공급 부족과 가격 불안 문제를 해소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매물 급감 국면이 불가피하다”며 “투기 수요가 정리되고 실수요 중심의 거래 구조가 정착된다면 중장기적으로는 점진적 안정세에 진입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