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어나는 대출 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고 ‘신용불량’ 상태에 빠진 30대 이하 청년층이 최근 6개월 동안 1만7000여명이 늘어나 총 23만12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빌린 뒤 제때 갚지 못해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되는 청년층이 증가할 수록 금융전반의 부실 확대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에 야권에서는 금융당국의 관리·구제방안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29일 한국신용정보원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30대 이하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약 23만1200명으로 집계됐다. 대출 이자를 90일 이상 연체하면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돼 금융거래가 중단된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서도 6개월 만에 약 1만7000명이 늘었으며, 전체 금융채무 불이행자 중 30대 이하 비중도 29.27%에서 29.75%로 확대됐다.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잔여 대출 원금을 의미하는 ‘등록 금액’도 증가 추세다.
29세 이하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평균 등록 금액은 지난해 말 2150만원에서 올해 6월 말 2370만원으로 증가했으며, 30대 역시 같은 기간 3460만원에서 3900만원으로 늘었다.
늘어나는 빚 부담에 결국 개인회생으로 눈을 돌리는 청년층도 증가하고 있다.
진 의원이 대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개인회생 신청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0∼30대 개인회생 신청 건수는 2만5244건으로 집계됐다.
2021년과 2022년 20∼30대 신청 건수가 각각 3만6248건, 4만494건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늘어날 전망이다.
30대 이하 연체율도 계속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0대 이하 연체율은 지난해 2분기 0.41%에서 올해 2분기 0.58%로 소폭 상승했다.
30대 이하 취약 차주 연체율(3개 이상 금융기관 채무자면서 저소득 혹은 저신용 차주)은 같은 기간 5.80%에서 8.41%까지 뛰었다.
진 의원은 “청년층의 빚 부담이 금융 전반의 부실로 확대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금융당국의 관리·구제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