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표 지역화폐] 소비 촉진 마중물 될까…부양효과 없다는 지적도

-李 "국민 25만원 지원금" 공약"…순 소비 증대 효과도
-특정지역 소비 정책 한계…사업체 직접 지원 더 바람직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인 지난달 20일 경기 파주시 금릉역 중앙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경기지역화폐 파주페이 모형을 받은 뒤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정부가 지역화폐 발행 규모를 본격적으로 확대해 지역 경제 살리기에 나선다. 막대한 재정 부담이 예상되지만 새 정부는 내수침체라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지역화폐를 내세웠다.

 

 정부가 추진하는 추경안에는 지역화폐 관련 예산이 대거 포함될 전망이다. 지역화폐란 지역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재화로, 사용처와 사용 지역이 제한된 화폐를 뜻한다. 지역별로 서울사랑상품권, 경기지역화폐, 인천e음 등이 있다.

 

◆최대 10% 인센티브 제공

 지역화폐는 소비의 역외 유출을 차단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대형마트에서 사용할 수 없어 지역 내 소상공인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됐다. 지방자치단체는 일정 한도 내에서 충전 금액의 최대 10%를 추가로 지급한다. 예를 들어 10만원을 충전하면 충전액의 10%인 1만원이 추가로 충전돼 총 11만원을 사용할 수 있다. 

 

 지역화폐는 이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시절 시행한 대표적인 정책으로 꼽힌다. 지역화폐를 통한 전 국민 25만원 지원금, 지역화폐 국가지원 의무화 등은 이 대통령이 민주당 당 대표 시절부터 역점 정책으로 추진했으며, 대선 공약에도 이를 포함했다. 이 대통령은 유세 과정에서 “지역화폐 발행 규모를 대폭 확대해 내수를 촉진하고 매출을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순소비 증대 26∼29%”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인 지난달 20일 경기 파주시 금릉역 중앙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경기지역화폐 파주페이 모형을 들어 보이고 있다. 뉴시스

 대전세종연구원의 ‘지역화폐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소상공인 매출 전환 효과와 역내 소비 전환 효과는 각각 31.7%, 16.8%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화폐가 출시되지 않았더라면 소상공인이 아닌 대규모 점포, 타 도시에서 지출됐을 금액이다. 또 지역화폐로 인한 순소비 증대 효과는 26~29%로 나타났다. 양준석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만약 100억원의 예산이 있다면 긴급재난지원금으로 지원하는 금액은 그대로 100억원이지만 지역화폐의 경우 캐시백 비율이 10%라면 1000억원의 지역화폐 발행이 가능하다”며 “정책 목적을 소비 활성화로만 본다면 효율적인 정책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부작용·재정 부담 우려도

 

 하지만 지역화폐가 경제에 미치는 부작용이 크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조세재정연구원은 ‘지역화폐 도입이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서 지역화폐 도입이 소상공인의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한적이라고 봤다. 송경호 조세연 연구위원은 “지역 내 소비자들의 지출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 지역 내 소상공인의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는 동시에 인접 지역의 소매업 매출 감소를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화폐 도입으로 지역 내 소매업 매출 증가는 인접 지역의 소매업 매출 감소를 대가로 이뤄진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사회 전체의 후생을 고려해야 하는 중앙정부 관점에선 지역화폐 발행으로 소비 지출을 특정 지역에 가두는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막대한 재정 부담도 과제다. 송 연구위원은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화폐를 발행하는 경우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는 사라지고 발행 비용, 소비자 후생 손실, 보조금 지급으로 인한 예산 낭비 등 부작용이 발생한다”며 “지역화폐 발행이 다양한 시장 기능의 왜곡을 발생시킨다는 면에서 지역화폐를 통한 간접 지원이 아닌 지역 내 사업체에 대한 직접 지원 방식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