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2027년까지 100% 자국산 반도체로 만든 차량을 내놓을 계획이다.
17일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이들 업체 가운데 두 개 브랜드가 내년부터 양산에 돌입한다. 반도체 기술패권이 날로 심화되면서 중국 당국이 자립과 성장을 이룩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해당 보도를 종합하면 중국 정부는 주요 자동차 업체에 자국이 개발한 반도체를 사용하는 비율을 높이도록 요청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는 이러한 계획을 통해 2027년까지 자동차에 적용되는 모든 반도체를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공개했다. 애초 2024년까지 자국산 반도체를 25% 사용한다는 목표 대비 대폭 상향한 수치인 셈이다.
이를 강제하기 위해 중국은 자국산 반도체 채택률을 정기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산출 기준은 불명확하다. 전체 반도체 숫자를 기준으로 할지 사용된 반도체 가운데 얼마나 많은 종류가 자국에서 개발·생산됐는지로 가늠할지 확정되지 않았다. 특히 고급차량 및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차량일수록 엔비디아와 퀄컴 등의 미국 제품이 적용돼 100% 자국산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것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 전언이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