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 "전기차 배터리 손상사고 원인 91%가 도로상 물체 충돌"

도로상낙하물_파손사진. 삼성화재 제공

 

전기차 배터리가 손상되는 사고의 90% 이상이 주행 중 도로 상의 돌멩이에 부딪혀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대 차 충돌사고는 10% 미만이었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2일 발표한 ‘전기차 고전압 배터리 손상사고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손상사고 405건 중 91%(370건)가 차량단독 사고였다. 차대 차 충돌사고는 8.6%(35건)였다. 

 

이는 2022~2024년까지 삼성화재에 접수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다.

 

차량단독 사고에서 충돌한 물체 종류는 도로상 돌출물·낙하물이 42%로 돌멩이가 가장 많았다. 이어 방지턱·연석·경계석·이 24%, 맨홀·배수구 덮개 11%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 자연재해와 화재, 도로이탈 등에 의해 차량단독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당시에는 배터리에 이상이 없었다가 1주일 이상 경과한 후 배터리 손상을 발견하고 사고 접수하는 비율이 전체 사고의 23.7%를 차지했다.

 

차대 차 충돌사고는 대부분 사고발생 즉시 배터리 손상이 확인된 반면 차량단독 사고는 이 비율이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대부분 갑자기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배터리 경고등이 점등돼 정비업체를 방문, 점검 중 손상을 확인하고 접수하는 사례가 많았다.

 

차량단독 사고만을 대상으로 사고차량의 차종별 점유율 분석한 결과, 화물차가 59.5%였다. 승용차도 세단형이 SUV형보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화재는 화물차의 경우 배터리가 차량 외부에 노출돼 있어 사고 비율이 높고, 세단형 승용차는 낮은 지상고 등 배터리 장착 위치에 따른 영향 때문으로 추정했다.

 

사고접수를 지역별로 보면, 전체 전기차 등록 대수의 수도권·광역시 대 지방권 비율은 6대4였으나, 사고 발생지역 비율은 약 4대6으로 지방권 비율이 높았다. 

 

사고접수가 가장 많은 시기는 여름철로 전체 사고의 약 30%를 점유했다. 앞서 주된 배터리 손상상태(수분유입 등)와 연결해 유추해봤을 때 여름철 강우량 및 습도가 증가, 실내외 기온차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했다. 

 

박원필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전기차 운전자들은 본격적인 여름철에 대비해 주행 중 배터리 부위에 큰 충격을 감지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빠른 시일 내 차량점검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손상이 발생했다고 고전압 배터리를 모두 교환할 필요는 없으며 차종별로 일부 차이는 있지만 조기에 발견할수록 손상 범위와 정도에 따라 손상된 부속품만 부분적으로도 수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