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 첫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당정이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물가·민생 안정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당정은 또 소비 진작과 내수 안정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당초 계획보다 조기에 신속하게 집행하고, 풍수해·폭염 대책도 마련하기로 뜻을 모았다.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6일 서울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에서 열린 고위 당정협의회 후 국회 브리핑에서 이같은 내용의 당정 협의 결과를 소개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물가 수준이 높아 생계 부담이 지속되는 만큼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을 다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은 식품, 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업계 등과 긴밀히 소통해 가공식품 가격 인상률 최소화 등 소비자 부담 경감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요청했고, 정부도 이를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정은 지속해서 소통·협력해 가용한 수단을 총동원해 물가 민생 안정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박 수석대변인은 또 “당은 경기 회복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최대한 빠르게 (추경)예산을 집행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며 “이에 정부는 집행 관리 대상 예산 중 85%를 9월 말까지 집행하겠다는 계획을 보고했다. 이는 1차 추경예산 집행 목표보다 15%포인트 높은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민생 회복 소비쿠폰과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비용 환급 등 소비 여력을 보강하고, 민생 안정을 위한 사업이 국민들께 혜택이 신속하고 차질 없이 전달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며 “정부는 금번 추경의 효과가 즉시 현장에서 체감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 합동으로 집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당정은 풍수해·폭염 대책도 논의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당은 과거 인명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했던 산사태, 하천 재해, 지하공간 등에 대해 철저히 관리해 줄 것을 정부 측에 강하게 요청했다”며 “정부는 해당 유형뿐만 아니라 산불 피해지역 등 지역별 위험 유형을 발굴해 정비하고 빗물받이, 우수관에 대한 정비도 신속히 추진하는 등 풍수해에 촘촘하게 대비하겠다고 보고했다”고 말했다.
이어 “1·2차 추경을 통해 재해 위험 지역 정비사업 예산을 확대했는데 연내 예산집행, 공사기간 단축, 조속한 위험 요인 해소 등 사업 목적 달성을 위해 예산 집행 상황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고 언급했다.
이날 고위 당정협의회는 지난 3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국회 인준을 거쳐 정식 임명됨에 따라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으로 열렸다.
당에서는 김병기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김윤덕 사무총장, 진성준 정책위의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김민석 총리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등이, 대통령실에서는 강훈식 비서실장과 김용범 정책실장, 우상호 정무수석 등이 각각 자리했다.
이화연 기자 hy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