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 인플레시대···가성비 어프로치] 골프장 건설비 고객에 전가… 정부·지자체 지원 필요

골프장 풍경. 사진=픽사베이

 

“한국에서는 비즈니스 골프 아니면 안가요. 차라리 일본이나 동남아로 가죠.”

 

A씨는 업무 특성상 한 달에 1회 이상 수도권 골프장으로 라운드를 간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친구나 지인과 라운드를 갈 때는 2박3일 또는 3박4일로 계획을 세우고 일본이나 동남아시아 국가로 나간다. 이유는 명확하다. A씨는 “가격 대비 서비스나 골프장 잔디 상태 등을 생각하면 내 돈 주고 가기 너무 아깝다”며 “비즈니스 골프는 어쩔 수 없이 가지만, 친구들과 재미있게 골프를 더 즐기기에는 해외가 차라리 낫다”고 설명했다.

 

국내 골프장의 높은 그린피에 대한 원성이 잦아들 줄 모른다. 국내 골프장 그린피가 비싼 이유는 복합적이다. 우선 수요와 공급이 상당히 불일치하다. 골프를 치려는 사람은 많은데, 골프장은 한정적이다. 부르는 게 값이 되는 이유다. 여기에 골프장 건설 자체에 수백억의 비용이 든다. 물가 상황에 따라 천지 차이이지만 최소 500억원에서 많게는 1500억원 이상 든다. 지난 5월 울산 중구가 추진한 공공골프장 조성에도 사업비와 보상비 등을 합쳐 1500억원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다.

 

이처럼 골프장 건설에 많은 비용이 드는 이유는 역시 부지 확보 때문이다. 18홀 기준 최소 30만평 이상의 부지가 확보돼야 한다. 지역에 따라 부지 비용도 다르다. 우리나라 지형 특성상 산악 지대가 많다는 점도 높은 건설 비용의 원인이다. 토목공사에 배수시설, 담수 시설 설치 등 추가 비용이 계속해서 발생한다. 여기에 각종 최신식 및 고급 시설화로 비용은 천정부지로 올라간다. 골프장을 다 완성했다고 끝나는 게 아니다. 회원제 골프장 같은 경우 재산세 4%, 취득세 12%의 압박이 있다. 골프장 부킹 플랫폼에 지불해야 할 수수료도 빼놓을 수 없다.

 

골프장 풍경. 사진=픽사베이

 

문제는 이 비용을 골프장 이용객들에게 전가한다는 점이다. 기본적인 이용료를 높이는 게 가장 이익이기 때문이다. 

 

구조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및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 골프장 건설시 대중형,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골프장의 경우 일부 건설 비용을 보조하는 형태로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도 방법이다. 친환경 건설이라는 기준을 만들어 지원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특히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을 실천하는 골프장을 선정해 세금 감면 혜택을 부여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이처럼 상생하는 골프장에 세제 및 비용 지원 혜택을 주고, 사용자의 이용 요금을 줄이는 등의 인위적인 접근이 당장은 필요해 보인다.

 

골프장 역시 비성수기 및 비혼잡 시간대 할인 정책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평일 오전 또는 늦은 오후 등 상대적으로 이용객이 적은 시간대에 할인을 제공해 실질적으로 골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할인책이 필요하다. 현재는 세제 혜택을 받기 위해 그린피 기준치를 최대한 맞추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속 가능한 스포츠, 궁극적으로 골프가 발전할 수 있는 길이다. 눈앞의 이익만 바라본다면 이용자는 결국 외면하게 되고, 이는 골프 산업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 고가의 그린피가 왜 문제인지를 고민해야 하는 이유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