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압박 높이는 금융당국…가계대출 50% 감축·릴레이 검사도

정부, 가계대출 50% 감축안 제시
저축銀 10곳 릴레이 검사 실시
업계 "무리한 감축은 건전성 악화"

뉴시스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이어 제2금융권을 대상으로 가계대출 총량 계획을 다시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 이어 연말까지 저축은행 10곳을 점검하기로 하면서 제2금융권의 건전성 관리에 고삐를 죄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하반기 가계대출 목표치를 새로 제출하라는 지침을 저축은행, 상호금융, 카드사, 보험사 등 제2금융 권역별로 요청에 들어갔다. 지난달 27일 발표한 가계대출 규제에서 올해 하반기 가계대출 공급 계획을 기존 대비 50% 감축하기로 한 데 따른 조치다.

 

 그동안 금융사들은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방침에 따라 대출 공급에 대한 연간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월별·분기별로 세밀하게 관리해 왔다.

 

 그러나 정부는 명목성장률 전망 하향과 최근 가계대출 증가 추이 등을 고려해 금융사들의 가계대출 공급 목표를 현행보다 50%를 더 줄이기로 결정했다.

저축은행중앙회 제공

 감독당국은 상반기 대출 공급량을 초과한 은행과 2금융권에 페널티를 부과할 방침이다. 상반기 중 초과한 대출 공급량 만큼 하반기 공급량을 줄이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제2금융권 가계대출 계획을 다시 받고 있는 중”이라며 “상반기 초과분만큼 하반기에 공급량을 감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금감원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대출 회수 지연과 연체율 상승을 이유로 저축은행권 현장검사 강도를 높이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1분기 연체율이 9%에 달하면서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달 OK저축은행에 대한 4주간의 현장검사를 마친 이후 현재는 다올저축은행의 건전성 검사를 진행 중이다. OK저축은행의 연체율은 9.05%, PF 대출 연체율은 10.39%를 기록했다.

 

 금감원은 연말까지 최대 10곳의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릴레이 검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지난달 말 기준 실적과 최신 연체율 등 지표를 종합해 검사 대상을 선정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검사에서 저축은행들의 PF 회수 전략, 내부 리스크 관리 체계, 충당금 적립 적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필요 시 추가 조치를 요구할 방침이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이 계속 과열되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주춤하지 않을 경우 더 강력한 대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예고하면서 제2금융권에 대한 압박도 높아질 전망이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연체율 상승과 이익 감소 등으로 녹록지 않은 시장 환경에서 무리한 가계대출 감소 요청까지 이뤄지면서 오히려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