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9일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공개한 갤럭시 Z 폴드·플립 7이 전작의 한계를 완벽히 뛰어넘은 디자인과 기술력으로 호평이 터져나왔다. 특히 현장에 마련된 체험 공간에서는 얇아진 두께, 강화된 카메라, 실용적인 AI 기능에 감탄이 쏟아졌다.
앞서 삼성전자는 ‘갤럭시 언팩 2025’ 초대장에서 “스마트폰은 더 이상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앱)과 기능을 담은 도구에 그치지 않는다”며 “인공지능(AI)이 인터페이스가 돼 단순히 반응하는 수준을 넘어 사용자 의도와 다음 행동을 예측하고 실행하는 새로운 경험이 시작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삼성전자는 AI 중심 인터페이스에 최적화된 하드웨어 설계에 집중해왔다”며 “차세대 갤럭시 디바이스는 구조 단계부터 새롭게 정의돼 더욱 깊이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높인 바 있다.

◆그립감은 ‘바 타입 느낌’ 사진은 ‘다큐’
먼저 이번 언팩행사에서 공개된 Z 폴드 7은 일반 바(bar) 타입 스마트폰과 비교해도 그립감과 휴대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다. 고급스러운 티타늄 소재 마감은 디자인의 품격을 한층 끌어올렸다. 기존 폴더블폰의 벽돌 같은 이미지를 완전히 걷어냈다.
폴드 7의 카메라는 전작 대비 4배 향상된 2억 화소 메인 카메라를 탑재했다.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을 확대하자 물체의 질감까지 생생하게 표현됐다. 야간 촬영에서도 밝기와 디테일이 눈에 띄게 향상됐다. 삼성 고유의 생성형 AI 사진 편집 기능도 대형 화면에 최적화됐다. 기존 바형 스마트폰에서는 불가능했던 원본과 편집본을 동시에 확인하는 UI는 사용 편의성을 대폭 높였다는 평이다.

◆AI 에이전트 ‘제미나이 라이브’…화면 위 비서와 대화
삼성은 구글의 AI 에이전트 ‘제미나이 라이브’를 국내 최초로 자연스럽게 활용 가능한 환경을 구현했다. 스크린과 AI가 하나의 공간에서 통합 작동하는 경험은 새로운 스마트폰 사용 패러다임을 예고하고 있다.
사용성도 진화했다. Z 플립 7의 경우 제미나이 라이브와 같은 AI 기능은 화면을 펼치지 않고도 플렉스윈도우에서 바로 실행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레스토랑 위치에 대해 최적 경로를 음성으로 묻자, AI가 실시간 교통 상황을 반영한 경로를 안내했다.
카메라 렌즈를 제외한 전면 전체가 디스플레이화되었고 베젤 역시 역대 가장 얇아졌다. 그 결과 화면 크기는 체감상 훨씬 커졌고 시각적 완성도도 극대화됐다.
이번 갤럭시 Z 폴드·플립 7은 기존 폴더블폰의 단점을 극복하고, AI와의 융합을 통해 스마트폰의 진화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 특히 플립 FE와 같은 보급형 제품까지 함께 출시되며, 삼성은 폴더블폰 시장의 대중화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한 셈이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