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품목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까지 정책·민간금융에서 267조원 규모의 지원이 이뤄진다. 또 수출 기반 주력 산업의 사업 재편과 재무건전성 개선을 지원하고자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6호) 조성도 추진된다.
금융위원회는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5대 금융지주와 정책금융기관 등을 소집해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를 위해 정책금융기관은 내년까지 총 172조원을 지원한다. 정책금융은 ▲경영애로 해소(36조3000억원) ▲수출다변화(33조3000억원) ▲산업 경쟁력 강화(91조5000억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11조원) 등 4대 분야에 지원된다.

한국산업은행은 지원 대상을 관세 피해기업에서 수출 다변화 기업까지 확대하고 지원 한도도 10배 증액할 계획이다. 또 산은이 제시하는 금리도 0.2%포인트에서 0.5%포인트 인하로 내릴 방침이다. 수은도 지원 대상을 신용등급 열위 기업에서 전체 중소기업으로 확대·개편하고 최대 2.0%포인트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은 관세 피해 등 대내외 환경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 대상 위기대응 특례보증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집행하기 위해 평가 절차 및 제출서류 등을 간소화한다.
중소기업은행은 전국 640여개 지점을 통해 금융애로 상담창구를 운영해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들에 상담을 제공했으며,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체 수출시장 발굴, 원가 절감을 위한 수익성 분석 등 맞춤형 컨설팅을 지속 실시할 계획이다.
5대 금융지주은 내년까지 95조원 지원에 나선다. KB금융은 유망성장산업, 제조업 중소법인 대상 특별 금리 우대, 신기보, 지역보증 특별출연을 통한 대출 지원, 현대·기아차 협력사 대출지원 등을, 신한금융은 미래혁신산업 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대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산업단지 전용 신상품 등을 운영한다.
하나금융은 자동차 산업 수출경쟁력 강화 프로그램을, 우리금융은 수출기업 등 유동성 공급 및 금융비용 경감을, 농협금융은 소부장 등 중소·중견기업 채권담보부증권 발행 확대, 관세 피해 대기업 협력업체 금리우대 등을 각각 운영한다.
금융위와 한국자산관리공사는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6호) 조성을 추진한다.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정부재정·정책금융기관 등의 출자와 민간매칭을 통해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투자하는 정책펀드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7조5000억원 규모의 1~5호가 조성됐다. 6호 펀드 지원 대상은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산업의 사전적·사후적 구조조정대상 기업이다.
금융당국은 원활한 민간투자 유치를 위해 후순위 출자 비중을 기존 펀드 대비 확대(5%→10%)하고, 펀드 조성금액의 60% 이상을 주력 산업에 투자해 주력 산업 종사 기업과 협력업체(자동차 부품제조, 석유화학 전·후방 기업 등) 등을 집중 지원한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금융 지원이 단순히 생존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피해 기업이 근본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도록 든든한 기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병칠 금감원 부원장은 “금감원이 운영하는 중소기업 애로상담 센터를 통해 일선에서 현장의 애로사항을 발굴하고 건의·해소하는 데 힘쓰겠다”고 했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