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결제 시장의 ‘기울어진 운동장’(中)] 카드사, 제 밥그릇 챙기기는 안된다

형평성 주장의 근거 ‘고객 편의’로 증명해야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로 미래 경쟁력 갖춰야

카드업계가 빅테크 및 핀테크와 비교할 때 차별적인 규제를 받고 있다며 규제의 형평성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카드사의 이같은 입장이 금융소비자의 공감을 얻기 위해서는 결국 ‘고객 편의’를 위한 것이라는 점을 증명해야 한다. 연합뉴스

[세계비즈=권영준 기자] 카드업계가 주장하고 있는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승점은 결국 ‘고객 편의’가 돼야 한다. 이것을 증명하지 못하면 결국 ‘제 밥그릇 챙기기’로 비칠 수밖에 없다.

 

카드업계는 비대면 금융 서비스를 주도하고 있는 빅테크 및 핀테크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생존전략 마련에 분주하다.  그 중심에는 ‘금융 플랫폼’이 있다.

 

플랫폼 중심의 금융 서비스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린다. 모바일 플랫폼 하나로 결제는 물론 송금, 이제 등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와 함께 부동산, 주식, 대출 등의 다양한 분야를 접목해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 소비자 데이터를 활용한 마이데이터 사업이 활성화되면 플랫폼을 통한 개인 자산관리까지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종합 금융 서비스를 통해 보험, 의료, 유통까지 파생될 비즈니스 및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카드업계는 플랫폼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KB국민카드는 카드업계에서는 최초로 ‘KB페이’를 출시해 간편 결제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NH농협카드 역시 ‘올원페이’를 업그레이드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추가했으며, 신한카드도 삼성전자와 손잡고 업계 최초로 신한페이판 ‘터치결제’를 출시했다.

 

타업종과의 융합 작업도 활발하다. 신한카드는 SK텔레콤과 MOU를 맺고 ‘소비+통신 데이터’ 결합에 나선 데 이어 GS리테일과의 협약으로 유통 데이터 확보에도 집중하고 있다. 현대카드는 이마트, 대한항공, 스타벅스, 배달의민족 등 업계 선두주자 업체와 협약을 통한 PLCC(상업자 표시 신용카드)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 걸림돌이 있다. 바로 규제 형평성이다. 과거 ‘카드대란’의 원죄는 있지만, 이후 과도한 경쟁을 방지하기 위해 마케팅 관련 가이드라인을 규제화했다. 즉 리볼빙을 포함한 이벤트 및 혜택에 쉽게 접근하기가 어렵다. 가맹점 결제 수수료율 역시 금융법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금융시장에 새롭게 진입한 빅테크·핀테크는 같은 금융서비스를 하면서도 이같은 규제에 적용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사전속주의도 마찬가지다. 이를 두고 카드업계는 “공정한 경쟁이 불가능하다”라고 주장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공정한 경쟁 측면에서 카드사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이 금융소비자의 공감을 얻고, 서비스의 궁극적인 목적인 ‘고객 편의’를 위한 길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카드사의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

 

금융소비자가 빅테크·핀테크로 발길을 돌리는 이유는 결국 ‘편의’에 있다. 사용하기 간편하고, 접근성이 좋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카드사 역시 금융 고객이 보다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플랫폼 개발은 물론 보다 나은 서비스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플랫폼의 경우 KB국민카드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업그레이드 수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플랫폼 개발 보다는 규제가 어떻게 조율되는지 관망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일단 시장 흐름에 지켜본뒤 대응하겠다는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이러한 스탠스는 결국 형평성 문제 제기가 단순히 제 밥그릇 챙기기로 흘러갈 수밖에 없으며, 나아가 시장 확장 및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오래된 규제를 개선하고 조율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개선과 조율 보다 더 중요한 것은 ‘금융고객 우선’이라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young070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