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로봇으로 혁신에 한 걸음 더!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의미는?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 로봇 활용 효율화, 로보틱스 종합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
모빌리티 영역 넘어 사업 전 영역에서 높은 시너지 발휘, 그룹의 가치 높일 것

현대차그룹이 보스턴 다이내믹스 최대 주주가 되면서 로봇 사업 영역으로 확대를 통한 새로운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개발한 4족 보행 로봇 스팟 현대차그룹 제공

[한준호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 로봇 전문 업체 인수를 통해 미래 혁신에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등 현대차그룹 3개사는 총 11억 달러 가치의 미국 로봇 전문 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에 대한 지배 지분을 ‘소프트뱅크그룹’으로부터 인수하기로 최종 합의했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보스턴 다이내믹스 지분 80%, 소프트뱅크그룹은 지분 20%를 보유하게 된다. 특히 최종 지분율은 현대차 30%, 현대모비스 20%, 현대글로비스 10%, 정의선 회장 20%로 구성될 예정이다.

 

앞서 현대차는 10일,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는 11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보스턴 다이내믹스 지분 인수 등의 안건을 승인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 로고

이로써 현대차그룹의 주요 회사가 로봇을 통한 새로운 사업 영역을 추가하게 됐다. 실제 현대차그룹은 그간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완성차 시장 세계 5위권의 양산능력을 기반으로 주요 부품과 모듈을 공급하는 현대모비스, 물류를 담당하는 현대글로비스 등 계열사 간의 협업을 통해 높은 경쟁력을 유지해왔다. 이제 로봇 제작과 로봇을 활용한 다양한 솔루션 개발로 자동차 외에 새로운 사업 영역 개척에 나서게 된 셈이다.

 

특히 로보틱스 기술은 자율주행차와 전동화 차량으로 대표되는 미래 모빌리티 분야뿐만 아니라 물류와 운송, 서비스 사업에서도 그룹 차원의 시너지도 기대된다.

 

사족 보행 로봇과 이족 보행 로봇 등을 개발한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모빌리티 분야에서 종합적인 인지∙판단∙제어 기능이 요구되는 자율주행차와 도심항공모빌리티(UAM)∙목적기반모빌리티(PBV) 등에 있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기업이다.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개발한 2족 보행 로봇 아틀라스(오른쪽)와 4족 보행 로봇 스팟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이 13일 공개한 자료에서는 완전 자율주행 기술은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을 통해 주변 환경 및 보행자, 다른 차량 등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필수다. 이에 더해 차량이나 모빌리티 장치 간의 통신을 비롯한 사물통신(V2V, V2X 등을 포함한 IoT) 기술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고, 인공지능에 기반한 판단 및 정밀 제어하면서 로봇 기술과의 상호 시너지가 기대된다.

 

현대차그룹은 2018년에 이미 로봇∙인공지능(AI) 분야를 핵심 미래혁신 성장 분야로 선정하고 현대∙기아차 전략기술본부 산하에 로봇 분야를 전담하는 로보틱스팀을 신설, 이후 현대∙기아차연구개발본부로 이동시키면서 연구개발에 더욱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지난해 말에는 로보틱스팀을 실급 조직인 로보틱스랩으로 확대하며 역량 강화를 추진 중이다. 여기에 로봇 제어 등에 특히 강점을 갖춘 보스턴 다이내믹스 기술이 어우러지면 그룹 차원에서의 비약적인 기술 발전이 가능하다는 것이 현대차그룹의 판단이다.

 

현대∙기아차 로보틱스랩은 2018년 자동차 제조 공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자형착용형 로봇 CEX’에 이어 ‘윗보기 작업용 착용로봇 VEX’를 개발했고, 올해 10월부터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에 최초로 양산품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인간의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웨어러블 로봇은 로봇 시장 초기 단계에서 시장 진입의 심리적 장벽을 낮춰줄 수 있고 비용 대비 높은 효율을 창출할 수 있다.

 

현대∙기아차 로보틱스랩은 2019년 말 CEX와 VEX 양산 체제를 구축한 뒤 국내외 공장으로의 확대 적용을 검토 중이며, 다른 자동차 기업은 물론 다양한 제조업체들에 납품도 추진 중이다. 뿐만 아니라 향후 VEX를 일부 개조해 건설, 물류, 유통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적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로고

자동차 제조 공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로봇도 개발 중이다. 지난해 6월 룸서비스, 고객 안내 등의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호텔 서비스 로봇’을 개발해 시범 운영한 바 있다.

 

최근에는 자연어 대화시스템, 인공지능, 모빌리티 기능 등이 탑재돼 판매 현장에서 고객들에게 직접 차량에 관해 설명해 주는 판매 서비스 로봇 ‘달이(DAL-e)’를 개발, 올해 12월 영업 거점 현장에 투입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자동으로 전기차 충전구를 찾아 충전을 해주는 전기차 충전 로봇, 주행 상황에 따라 2~3휠로 자동 변신이 가능한 초소형 로보틱 퍼스널 모빌리티 등도 개발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착용형 로봇을 기반으로 한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 기술과 인공지능 및 모바일 플랫폼 기술에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보유한 3D 비전, 로봇팔, 2족 및 4족 보행 제어 기술이 더해지면 보다 완성도 높은 로보틱스 기술 구현이 가능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로봇의 인지∙판단∙제어 등 전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인공지능 분야와 관련해 이미 퍼셉티브 오토마타(미국), 알레그로.ai(이스라엘), 딥클린트(중국), 엔비디아(미국) 등 전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한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포티투닷 등과 함께 인공지능 분야 개발에 협력을 진행 중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13일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는 그룹 차원에서의 세계 최고 수준의 로봇 기술 연구개발 및 상용화를 가속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의 사업 전 영역에서 높은 시너지 창출하고, 그룹의 경쟁력과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tongil77@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