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채 발행 급증에 시장 불안↑… 수요확충 방안 시급

국고채 장기물 금리 상승…10년물 1.703%로 1년물 금리의 세배
주택담보대출 등 주요 대출금리 상승 촉발 우려…변동성 확대 경계해야

국고채 발행이 급증하고 리플레이션 트레이드가 재연되면서 국고채 장기물 금리가 들썩이고 있다. 이와 관련, 국고채 장기 수급방안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임정빈 선임기자] 포스트코로나 시기를 앞두고 우리나라 최고의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국고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경기 회복 기대 속에 주가와 장기채권 금리가 급등하는 전형적인 ‘리플레이션 트레이드’(reflation trade)가 나타나고 있지만, 국고채 매수 기반이 약해 제어가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정부와 금융권 등에 따르면 국고채 장기물 금리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이에 대해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20일 마감된 국고채 1년물 금리는 0.686%인데, 5년물 금리는 1.281%로 1년물 금리의 약 두 배에 이른다. 10년물은 1.703%로 1년물 금리의 거의 세 배에 이른다.

 

금리상승은 채권 가격 하락을 의미한다.

 

장기물로 갈수록 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갈수록 채권 수급에서 공급이 수요보다 많다는 것이다.

 

그런 만큼 경기회복을 앞두고 채권에서 빠져나와 주식에 투자하는 미국 금융가의 리플레이션 트레이드가 국내 채권시장에서도 재연되고 있는 것으로 시장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더욱이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 국고채를 대량으로 찍어낸 점도 한 몫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고채 발행물량은 2018년 97조4000억원, 2019년 101조7000억원이었지만 코로나19 위기였던 2020년에는 174조5000억원, 올해에는 176조4000억원에 달한다.

 

코로나19 대응 차원에서 작년과 올해에만 추가된 국고채 물량이 대략 140조원을 넘는다.

 

이렇게 공급이 늘어나면 채권 가격이 내릴 수밖에 없다.

 

문제는 국고채 장기물이 급등하는 상황이 국내 금융시장 기조를 흔들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한은이 은행들과 거래하는 금리를 정할 뿐 전체 금리를 결정하지 않는다.

 

국고채 금리는 한은 기준금리 다음으로 큰 역할을 하는데, 듀레이션에 따른 변동성이 매우 커진다면 다른 채권에도 매우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이는 전체 채권시장을 흔들어 주택담보대출 등 주요 대출금리 상승을 촉발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지난 20일 거시정책회의를 통해 “국고채 금리가 장기물을 중심으로 상승함에 따라 장단기 금리차가 확대되고 있는 점은 특징적”이라고 말한 바 있다.

 

기재부는 또 지난 19일 공개한 ‘2021년 업무계획’을 통해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늘어난 유동성이 자산시장 변동성 확대와 부채 급증 등 부작용을 낳지 않도록 세심하게 관리하겠다”며 “채권도 개인투자용 국채는 만기 보유 시 가산금리나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혀 국채 수요기반을 확충하기로 했다.

 

정부가 늘린 유동성을 어떻게 흡수하느냐가 관건이었데, 대략 개인이 사도록 유도하는 방향을 잡고 있는 셈이다.

 

이는 양날의 칼과 같은 측면이 있다. 시중 개인 자금이 세제 혜택을 노리고 대거 국채 투자로 몰려든다면 주식시장은 하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부동산으로 쏠린 돈을 주식과 채권시장으로 유도하는 정책을 펴고 있지만, 부동산시장이 가라앉는다면 더 큰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한은이 국채를 사줘야 한다면 거의 비상시국과 유사한 흐름이 된다.

 

이에 따라 국고채 수요기반 확충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jbl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