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무릎 통증, 악화되면 퇴행성관절염 의심

18484611 - joint pain

[정희원 기자] 겨울철 빙판길 위에서 넘어져 무릎 부상을 겪는 안타까운 사례가 많다. 특히 낙상 사고를 크게 당해 무릎 퇴행성관절염 발병 진단을 받는 중장년층 사례가 다반사다. 

 

문제는 겨울철 무릎 부상 원인이 추운 날씨만으로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추위 속에서 자신의 의지와 상관 없이 긴장 상태에 놓이는 무릎 관절 주변 근육 및 인대 역시 위험 요인이다.  

 

이처럼 경직된 상태에서 걷을 때 부자연스러운 보행 동작을 영위하는데 이는 곧 무릎 관절 주변 조직에 커다란 압박으로 나타난다. 특히 무릎 관절 상태가 좋지 않은 중장년층의 경우 관절 내 연골의 비정상적인 마모로 이어질 수 있다. 

 

겨울철 특유의 일조량 적은 날씨도 문제다. 날이 흐리거나 눈이 올 때 기압은 낮아지고 습도는 높아지는데 이는 관절 내 압력을 부추기는 리스크다. 이와 동시에 활액막 신경을 압박해 무릎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평소 무릎 건강이 좋지 않은 중장년층이라면 겨울 날씨 영향이 더욱 크게 다가오기 마련이다. 

 

무릎 퇴행성관절염은 무릎 관절 안에 있는 물렁뼈인 연골이 닳아 위, 아래뼈가 서로 맞닿아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연골은 콜라겐 성분으로 이루어진 신체 조직으로 무릎 위·아래뼈의 완충 역할을 담당하는데 시간이 지나며 점차 닳는다. 무릎 연골이 닳아 무릎 위·아래뼈가 맞닿을 때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바로 퇴행성관절염이다. 

 

더욱 큰 문제는 무릎 통증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통증으로 여겨 파스, 소염제 등을 활용해 자가 치료에 그치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무릎 연골에는 신경 세포가 없어 손상되어도 통증을 일으키지 않고 스스로 재생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무릎 연골이 손상되어도 그 사실을 자각하기 힘들다. 만약 걸을 때나 계단을 오를 때 무릎 통증이 극심하다면 이미 연골 세포가 손상된 무릎 퇴행성관절염 말기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겨울철 무릎 관절 건강을 지키기 위해 가급적 찬 기운을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 고령층이라면 하루에 한 번 40~45도 온수로 15분 동안 온욕을 하는 게 권장된다. 온욕 시 무릎 관절 주변 근육의 긴장 상태를 해소하고 관절 주변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된다. 만약 이같은 관리에도 무릎 통증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병원을 찾아 정밀 검사를 받는 게 좋다. 

 

고도일병원 고도일 병원장은 “무릎 연골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면 인공관절 수술을 고려해야 하는데 난이도가 높고 회복 기간이 길 뿐 아니라 일정 기간 재활을 거쳐야 하는 게 문제”라며 “무릎 관절 연골 손상이 크지 않은 상태라면 무릎 관절 주변 인대를 강화시키는 인대강화주사요법 또는 관절내시경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