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실 먼지나 날파리 같은 물체가 눈을 움직일 때마다 따라다니는 증상을 '비문증'이라고 한다.
젊었을 때는 젤리 같은 형태의 투명한 유리체가 눈 속 대부분 채워주지만, 40~50대에 접어들면 유리체가 물처럼 변하고 수축하여 다양한 형태의 혼탁이 발생한다.
비문증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나 그 밖에도 외부적인 충격을 받거나 고도 근시를 앓고 있는 사람에게도 쉽게 나타날 수 있다.

나이가 들면 유리체의 일부분이 수분과 섬유질로 분리되는 액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젤리 모양이었던 유리체가 액체로 변하면서 남은 부분은 점차 수축하고 섬유질의 밀도는 부분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것이 경미한 혼탁을 유발해 그림자를 만드는 것이다.
과거와 달리 현대인들의 생활 패턴으로 비문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장시간의 전자기기 사용이나 스트레스, 수면 부족, 영양 결핍과 같은 원인에 의해 눈의 노화가 빨라지면서 이른 나이에 비문증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비문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날파리나 검은 점, 얇은 실, 아지랑이 등 다양한 형태가 눈앞에 보이는 것이다. 이런 부유물은 눈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기도 하며 눈을 감았을 때 보이기도 한다.
또, 구름이 없는 맑은 하늘을 올려다보거나 흰색 배경의 대상을 볼 때 더욱 선명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개인차에 따라 느껴지는 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눈앞에 보이는 부유물 이외에도 눈 속에서 빛이 번쩍거리는 듯한 광시증, 눈앞에 커튼이 처진 것처럼 시야가 어둡게 보이는 등의 이상 증세가 나타났다면 망막박리 또는 망막질환의 전조증상이 발생한 것일 수도 있어 신속하게 안과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노화로 인해 자연스럽게 발생한 비문증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불편함을 느껴질 때는 잠시 시선을 돌렸다가 주시하면 사라지기도 한다. 그러나 부유물의 크기가 크거나 개수가 많아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 또는 광시증(번쩍거리는 증상), 망막 열공 발견 시 레이저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커튼 친 모양새의 망막 박리가 관찰되면 수술이 불가피하다.
혜민안과병원 손용호 병원장은 “비문증은 처음 발생했을 때 증상 정도의 상관없이 곧바로 안저검사를 시행해 주변부 망막의 상태를 확인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초기 검사상 별다른 이상이 없더라도 추후 망막열공 또는 망막박리 등과 같은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평소 눈 건강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진 않는지 관찰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