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A·서울대 통계연구소 연구결과 “로또 조작 불가. 위변조 방지 장치 많다"

"로또 다수당첨, 확률상 발생 가능한 범위…조작 불가"

지난달 10일 서울 마포구 MBC 상암사옥에서 관계자들이 ‘대국민 로또 6/45 추첨 공개방송’을 위해 추첨 장비를 테스트하는 모습. 뉴시스 

 

 현재 로또복권 시스템은 당첨 번호 조작이 불가능하며 다수의 당첨자가 나오는 것도 확률상 충분히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서울대통계연구소의 연구용역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다만, 향후에도 다수 당첨 사례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로또 당첨 확률을 낮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난 3월 4일 추첨된 1057회 로또복권에서는 당첨 번호 5개와 보너스 번호가 일치한 2등이 전국에서 664장 나왔다. 이 중 103장이 서울 동대문구 왕산로의 한 복권 판매점에서 동시에 나온 것으로 확인되면서 추첨 과정에 조작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복권위는 당시 “이번 회차 2등은 당첨된 664장 중 609장이 특정 번호를 수동으로 선택한 것으로, 선호하는 번호 조합이 우연히 추첨이 된 결과”라며 의혹을 반박했다. 이어 복권위는 추가 논란을 방지하기 위해 TTA와 서울대 통계 연구소에 관련 검증도 각각 의뢰했다.

 

 시스템의 추첨 과정에 대한 검증을 진행한 TTA는 위·변조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마련돼있어 당첨 번호 조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TTA는 서버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두 인가된 사용자 외에 접근할 수 없고, 블록체인 형태로 메시지 인증 코드가 구성돼있어 티켓 변조도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티켓인증 코드와 바코드를 활용해 실물 티켓 위조도 막고 있으며, 추첨기와 추첨 볼 역시 이중잠금장치가 설치된 창고에 보관돼 조작할 수 없다고 봤다.

 

 서울대 통계연구소는 2002년부터 올해까지 총 1061개의 당첨 번호 데이터를 활용해 로또 다수 당첨 사례가 확률적으로 발생 가능한지 분석했다.

 연구소는 몬테카를로 방법론 등을 활용해 통계적 감정을 진행한 결과, 추첨의 동등성이 위배된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이상치분석을 통해 다수 당첨 확률을 계산한 결과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범위에 있었다고 설명했다.

 

 몬테카를로 방법은 무작위로 추출된 표본으로 확률분포를 근사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검정통계량의 확률분포를 추첨이 공정하다는 가설(귀무가설) 하에 근사해 유의확률 계산한다. 유의확률(p-value)이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하는데 이번 검정 시 유의확률이 0.482~0.757 수준으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연구소는 1등과 2등에 대한 다수 당첨 사례가 추가로 나타날 수 있는 만큼 당첨 확률을 낮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일례로 1~45개에서 6개의 번호를 고르는 것에서 1~70에서 6개의 번호를 고르는 것으로 바꾸는 경우 1등 당첨 확률은 814만5060에서 1억3111만5985로 약 16배 낮아진다고 밝혔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