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로 인한 신경 손상? 발치 시기가 관건

많은 사람들은 일명 '사랑니'라 부르는 제3대구치는 17세에서 25세의 나이에 맹출된다. 이들은 구강 내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대부분의 사람이 사랑니 맹출을 경험한다.

 

하지만 이 중 사랑니가 온건하게 자라 다른 치아들처럼 치아의 기능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사랑니는 어쩌다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됐을까. 인류가 도구와 불을 사용하게 되면서 음식이 비교적 부드러워져 치아의 기능을 대신하게 되었고, 필요하지 않은 부분들이 퇴화하여 턱이 작아졌다. 이에 따라 모든 치아가 맹출 될 공간이 부족해져 비교적 안쪽에 위치한 사랑니가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렇다보니 사랑니는 잇몸 속에 묻혀 있거나 일부만 맹출 되어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런 경우에는 대부분이 관리하기 어려워 인접 치아에 우식증이나 잇몸 염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완전히 매복된 경우에도 사랑니 주변을 감싸고 있는 주머니에 물이 차 혹이 형성되기도 한다. 물혹이 생기면 치조골을 녹이고 치아 주변 조직들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사랑니에 이상이 없는지 정기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게 유리하다.

결론적으로 사랑니에 염증이 생긴 경우 오래 방치하면 안 된다. 그렇다면 사랑니 발치는 무작정 해도 되는 것일까?

 

결론적으로 그렇지 않다. 사랑니 주변에는 신경, 혈관 그리고 많은 해부학적 구조물들이 존재하여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 특히나 아래턱 매복 사랑니는 발치 과정에서 신경을 잘못 건드리면 신경 손상 등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고, 무리하게 발치를 진행하다가 주변 치아 잇몸뼈까지 손상을 입는 등 위험도가 높다.

 

사랑니가 정상적인 위치에 반듯하게 나와 있어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면 굳이 뽑을 필요는 없지만, 매복 사랑니는 겉으로 보이지 않아 사랑니가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이러한 문제가 생기기 전에 치과는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자신의 구강 상태를 인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조영훈 서울슬기로운치과 원장은 “매복된 사랑니를 발치하는 것은 치과 치료 중에서도 고난도에 속하는 치료이기 때문에 디지털 방사선 사진과 3D CT 등을 촬영하여 사랑니와 하치조신경관의 관계를 파악하고 사랑니 발치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의 정밀한 진단을 기반으로 충분한 상담을 받고 진행하는 것이 좋다“며 “염증 상태이거나 통증이 심한 사랑니는 증상을 가라앉히고 난 후 발치하는 것이 예후에 좋다. 전문 의료진과 상담하여 발치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