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혁수 대표 “LG이노텍의 반·전 기대…로봇·UAM·우주 분야 확장”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LG이노텍 제공 

“반도체 기판·전장 사업 글로벌 1위 만들고 UAM, 우주 산업 등으로 기술 확대해 미래 사업 확보할 것."

 

문혁수 LG이노텍 신임 대표이사가 주주총회에서 드러낸 포부다. 

 

지난해 12월 신임 CEO로 취임한 문 대표는 21일 오전 서울 마곡 본사에서 진행된 제48회 정기주주총회 이후 이사회를 통해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문 대표는 2009년부터 LG이노텍의 광학솔루션 개발실장, 연구소장 등을 역임하며 세계 최초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을 지속 개발, 광학솔루션사업을 글로벌 1위로 키우는데 핵심적 역할을 한 인물이다. 2020년부터는 광학솔루션사업부장을 맡아 글로벌 스마트폰용 카메라 모듈 시장 1위 입지를 공고히 하며 기술의 전문성과 탁월한 리더십을 인정받았다. CEO로 선임되기 직전까지는 CSO(최고전략책임자)로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한 신사업 발굴 및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을 성공적으로 주도해왔다. 

 

문 대표는 광학솔루션사업에서의 ‘성공 방정식’을 반도체 기판과 전장부품 사업에 적용해 견고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목표를 그린다. 그는 “광학솔루션사업을 세계 1위로 키워낸 경험은 기업의 1등 DNA의 근간”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FC-BGA(플립칩 볼그레이 어레이) 등 반도체 기판 및 전장부품 사업을 키울 것”이라고 밝혔다.

 

먼저 구미 드림 팩토리에서 고부가 반도체 기판 FC-BGA를 본격 양산하고, 시장 선점을 위한 투자를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LG이노텍은 2022년 FC-BGA 사업 신규 진출을 선언한 뒤 LG전자로부터 구미4공장(드림 팩토리)을 인수해 FC-BGA 생산라인을 구축했다. 지난달 첫 양산 시작과 함께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기존 전장부품사업을 통해 축적해온 글로벌 고객 신뢰도 및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모빌리티 부품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40년 이상의 무선통신 기술로 개발한 5G-V2X 통신모듈, 고부가 차량조명 모듈 ‘넥슬라이드’ 등이 대표적이다. 

 

뿐만 아니라 ADAS용 센싱 부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맞아 모바일 분야에서 축적한 카메라 모듈 기술 역량을 차량 카메라, LiDAR, Radar 등의 센싱 제품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 ADAS용 센싱 솔루션 글로벌 1위가 목표다. 

 

문 대표는 “공장 증설 및 및 지분 투자 등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LG이노텍은 지난 1월 대만 렌즈 기업인 AOE에 지분투자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광학솔루션사업에서 이뤄진 첫 지분투자 사례로, 향후 외부 파트너십을 적극 확대해 기술 및 원가 경쟁력, 제조 공정 역량 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멕시코 생산라인 증설 등을 통해 북미 완성차 시장 공략에도 더욱 속도를 낼 방침이다.

 

앞으로 사업 분야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 대표는 “인공지능(AI) 시대에 따라 급성장 중인 AMR(휴머노이드) 분야에서 LG이노텍이 기여할 수 있는 영역(센싱, 제어 기술 등)이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로봇 관련 선행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UAM, 우주 산업 등으로 원천기술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미래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정원 기자 garden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