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실명 질환 중 하나라고 알려진 녹내장은 시신경에 병증이 생겨서 형태학적 변화와 그에 따른 시야 결손의 기능적 변화를 보이는 질환이다. 주로 40대 이상에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최근에는 잦은 전자기기 사용 등으로 인해 30대에서도 녹내장이 발견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녹내장은 안압이 상승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대표적인 안질환이다. 어두운 곳에서 장시간 전자기기를 보게 되면 동공이 커지고 수정체가 앞으로 이동하며 방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발병 위험을 더 키우게 된다.
이에 안압이 높아지는 이유는 눈 속에서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운반하는 액체인 방수가 정상적으로 흘러 나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젊은 세대에서도 증가하는 추세가 보이며 근시나 고도 근시가 있으면 녹내장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들어서는 안압이 정상 수치임에도 녹내장이 흔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녹내장 환자의 70~80%는 안압이 정상범위임에도 불구하고 녹내장이 나타나는 정상 안압 녹내장에 해당한다.
안압이 정상 범위에 있더라도 시신경이 흐르는 혈류 장애 등으로 녹내장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녹내장은 소리 없는 시력 도둑이라고 알려져 있는 무서운 눈 질환이기에 무엇보다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특히 시신경 손상이 80%가 넘어갈 때까지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다가 점차 시야가 좁아지고 서서히 시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실명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 녹내장이 말기에 이르러서야 안과에 내원하게 되는데 이미 되돌리기 어려운 상태인 경우가 많다.
혜민안과병원 손용호 병원장은 “녹내장은 보통 60세 이상 환자가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최근에는 30~40대 환자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당뇨, 고혈압, 고도 근시를 가지고 있거나 6개월 이상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고 있거나 녹내장 가족력이 있다면 녹내장 발병 확률이 높기에 6개월에 한 번 정도는 녹내장 검진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