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계 숙원 이뤘다…국립극단, 15년 만에 국립극장 품으로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전경. 사진 = 국립극장 제공

 

국립극단이 15년 만에 국립극장으로 돌아온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8일 국립극단의 국립극장 이전을 기념하는 행사 ‘국립극단, 남산에서 이어가는 연극의 미래’에 참석해 15년 만에 이뤄진 국립극단의 귀환을 축하한다.

 

국립극단이 주최한 이번 행사에서는 국립극단 출신 박정자, 이호재 등 원로 배우를 비롯해 연극 관련 협회·단체, 유관 기관 관계자 등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모여 교류한다.

 

유 장관은 “남산으로의 귀환은 국립극단의 역사성과 미래를 동시에 상징하는 중요한 발걸음으로 국립극단의 연극 제작 역량을 강화하고 한국 연극이 새롭게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1950년 국립극단 창단 이래 국립극장은 국립극단의 모태이자 활동의 중심 무대였다. 이후 국립극단은 2010년 독립 법인으로 전환해 백성희장민호극장과 소극장 판을 보유한 서계동 문화공간에 터를 잡았다. 2015년부터는 명동예술극장을 위탁받아 운영했다.

 

2023년 서계동 문화공간 일대가 복합문화공간으로 재건축에 들어가면서 국립극단은 대학로 홍대 아트센터로 임시 거처를 옮겼다. 그동안 연극계에서는 국립극단이 다시 국립극장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난해 연극계 원로들이 국립극단의 국립극장 이전을 공식 요청했고 문체부는 국립극단을 국립극장의 (구)공연예술박물관 자리에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국립극단과 국립극장은 이번 이전을 계기로 연간 두 편 이상의 연극을 공동 기획하고 이에 대한 우선 대관을 약속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국립극단은 올해 두 편의 공연을 국립극장에서 선보인다. 상반기에는 ‘그의 어머니’, 하반기에는 ‘허난설헌(가제)’이 국립극장 무대에 오른다. 특히 1200석 규모의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이는 허난설헌은 기획 초기 단계부터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제작하는 창작극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문체부는 국립극장 인근의 공연연습실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향후 국립극단은 국립극장을 중심으로 한 남산공연예술벨트 내에서 공연의 기획부터 제작·연습·공연·홍보마케팅까지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된다.

 

지동현 기자 ehdgus121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