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급등세를 보이던 지주사와 우선주의 주가가 이달 초 나란히 급락을 보이며 주춤했다. 상법 개정, 자사주 소각 등 호재성 이슈에 힘입어 지주사 주가는 52주 신고가를 기록했지만 최근 세제 개편안 발표 등 정책 리스크가 부각되며 투자 심리가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3개월 차에 접어들었다. 비정상의 정상화라는 아젠다는 차치하고 자산 시장의 관점에서 가장 큰 변화는 가계자산 포트폴리오의 리벨런싱이다. 부동산 대출 제한으로 탈 부동산에 방점을 둔 정책들이 발표되고 있다.
특히 동산 중에서도 국내 주식 시장으로의 이동 유인을 높이고 있다. 거시적으로 현 정부가 지향하는 가계 자산의 재분배는 경제 역동성을 높이는 것이다. 주식의 경우 매도(현금화)가 수월하고 배당을 통해 주기적으로 가계로의 현금 유입이 가능하다.
정부의 증시 부양 정책들이 우선주에 미치는 영향을 네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면 첫째 3% 룰을 포함한 의결권 강화다. 결과적으로는 부정적이지만 그 영향은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
둘째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다. 자사주의 소각은 주가 상승을 견인한다. 유통 주식 수가 감소하면 주당순이익과 주당배당금이 증가한다. 우선주는 상대적으로 유통 물량이 적기 때문에 소각 효과가 크다.
셋째, 배당 소득의 분리 과세다. 절세 혜택은 긍정적이나 배당을 촉진한다는 측면에서 보통주 배당수익률 증가는 우선주와의 배당 수익률 격차를 좁힌다. 의결권 선호가 있는 상황에서 보통주 배당이 늘면 단기적으로 우선주 유인이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우선주는 시장의 필요에 의해 지속적으로 존재할 개연성이 높다.
기업 입장에서 우선주는 경영권을 방어하며 자본을 조달할 수 있는 좋은 채널이다. 기업마다 상이하긴 하나 보통 한국에서 우선주는 배당을 고정시키지 않고 보통주 배당에 1%포인트를 추가하는 방식이다. 즉 보통주 배당이 증가하면 증가분만큼 우선주 배당도 증가한다.
네 번째 대주주 요건 하향이다. 이달 초 시장에 가장 부정적 영향을 준 부분이다. 현재 세법상 대주주 요건은 코스피의 경우 1%(코스닥 2%) 이상 또는 시가총액 50억원 이상이다. 이번 세법 개정에서 대주주 요건을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하향하면 대주주로 분류되는 투자자들이 양도소득세 부담을 회피하기 위해 연말 주식 매도 가능성이 높다. 특히 거래량이 적은 우선주를 먼저 매도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장기적으로 배당소득 분리 과세로 인한 절세효과와 자사주 소각으로 인한 우선주 수요 회복, 그리고 시장의 학습효과 등을 감안해 볼 때 지속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현 정부의 증시부양 세법 개정은 우선주에 긍정적이라 생각된다. 이번 개정의 핵심은 세수 확대이지만 자본시장 관점에서 볼 때에는 증시부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의결권이 제한된 우선주는 전통적으로 더 많이 배당을 받고 싶은 장기 투자자가 선호하는 만큼 현 정부의 증시부양 정책이 우선주 주주 성향에 부합한다는 분석이다.
다만 우선주 투자에서 주의할 점은 유통 물량이 적다는 점이다. 상장 폐지가 빈번하다고 볼 순 없으나, 이번 세법 개정에서 대주주 요건 하향으로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우선주를 단기 수급 변동성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선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최영미 하나Club1 도곡PB센터 PB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