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은 2030 엑스포를 계기로 수도권에 이은 한국 경제의 ‘제2 성장축’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부산·울산·경주를 아우르는 새로운 경제권역으로 미래 발전을 앞당기겠다는 포부다.
국제박람회기구(BIE)가 공인하는 엑스포는 두 종류다. ‘등록엑스포(Registered Exhibitions)’와 ‘인정엑스포(Recognized Exhibitions)’다. 등록엑스포는 대규모 종합박람회로 광범위한 부분의 주제를 다룬다. 개최 주기는 5년, 개최 기간은 6개월이다. 인정엑스포는 중규모 전문박람회로 특정 부분을 주제로 선정해 열린다. 등록엑스포 사이 기간인 5년 동안 1회 규모로 3개월간 열리며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 대전, 2012년 여수에서 열린 바 있다. 비용은 개최국이 국가관을 건설해 참가국에 무료로 임대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등록엑스포는 개최국이 부지를 제공하고 참가국이 자비로 국가관을 건설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개최국으로선 초기 투자 비용의 부담이 적다. 우리나라는 아직 등록엑스포를 유치한 경험이 없다. 2030 부산엑스포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는 이유다.
부산시와 대한상공회의소, 산업연구원 등에 따르면 부산엑스포의 총사업비는 4조8995억원 규모다. 부산이 엑스포 개최 도시로 결정될 경우 부산 북항 일대 343만㎡ 부지가 활용된다. 2030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열릴 엑스포는 축구장 480개 규모며 약 200개국 5050만명의 참가가 예상된다.
용지 조성과 건축, 행사 운영 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해 효과를 산정하면 그 이득은 눈에 띄게 불어난다. 약 50만명의 일자리가 생기며 생산유발 43조원, 부가가치 18조원 등 총 61조의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투자 비용 대비 기대 효과가 12배에 달한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29조원)의 2.1배, 2002년 한일월드컵(17조원)의 4배 규모다. 2015년 밀라노 엑스포의 경제적 효과는 63조원에 달했던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은 지난 7월 엑스포의 효과에 대해 “정량적, 돈으로 계산할 수 있는 것보다 다른 의미와 득이 크다”며 “제일 중요한 건 글로벌 관계다. 새로운 시장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엑스포는 61조가 아니라 훨씬 더 큰 미래 가치를 준다”고 피력했다.
우리나라는 1988년 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을 개최했다. 2030 부산엑스포 개최에 성공한다면 우리나라는 프랑스·독일·미국 등과 함께 올림픽, 월드컵에 이어 3대 국제행사를 모두 개최하는 국가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이는 세계에서 7번째다.
정가영 기자 jgy9322@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