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가 출범하면서 도입된 프리마켓에서 1주로 상·하한가가 체결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이에 대해 넥스트레이드는 일부 투자자의 고의적 주문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21일 넥스트레이드에 따르면 최근 프리마켓(오전 8시~ 8시 50분) 시장에서 1주로 상한가나 하한가를 형성하려는 사례가 확인돼 이를 관계기관과 공유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지난 5일부터 20일까지 프리마켓 최초 가격이 1주에 의해 상한가 또는 하한가로 체결된 사례는 총 14종목, 18건이다.
넥스트레이드는 “특정 계좌에서 반복적으로 일부 종목에 대해 1주의 상한가 또는 하한가에 호가를 제출했다”며 “투자자 A씨는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7개 종목에 대해 10회에 걸쳐 각각 1주씩 상한가 매수 또는 하한가 매도 주문을 제출했다”고 말했다.
이에 넥스트레이드는 “적은 수량에 의한 고의적 상한가 또는 하한가 형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해당 주문이 제출된 증권회사를 통해 해당 투자자에게 주의를 촉구했다”고 말했다.
현재 넥스트레이드는 주요국 대체거래소의 시장구조와 가격결정방법을 참고해 프리마켓의 최초가격을 단일가매매가 아닌 접속매매 방법을 선택했다. 접속매매는 정보가 가격에 신속하게 반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초가격을 접속매매의 방법으로 결정하는 프리마켓에서 일부 종목의 경우 최초가격이 상한가 또는 하한가에 결정되고, 이후 정상가격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변동성완화장치(VI)가 발동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넥스트레이드는 매매체결대상종목의 확대를 앞두고 있다. 이달 24일부터 110종목에서 350종목으로, 31일부터는 350종목에서 800종목으로 늘릴 예정이다.
앞서 지난 17일 매매체결종목이 10종목에서 110종목으로 늘어난 이후 일평균 거래대금은 1323억원, 이중 프리마켓의 거래대금은 일평균 79억5000만원으로 넥스트레이드시장 총거래대금의 6.0%를 차지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