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외국산 車 부품에 25% 관세 발효...부품업계 타격 불가피

경기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사진=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예정대로 25% 관세를 부과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26일 발표한 포고문에 따르면,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가 미 동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3일 오후 1시1분)부터 부과되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완성차 생산시설을 가진 자동차 제조업체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지난달 29일 수정된 포고문을 통해 2년간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일부 완화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지난달 3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미국에서 조립한 자동차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관세를 1년간 면제하고 내년 5월 1부터 2027년 4월 30일까지는 10%에 해당하는 부품에 관세를 면제하기로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다소 완화하면서 국내 부품업체들도 숨통이 트였다는 평가다. 하지만 관세 부과로 최종 소비자 가격 인상이 예상되면서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은 한국의 최대 자동차 부품 수출 시장이다. 한국의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2020년 29.5%에서 지난해 36.5%로 증가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약 135억 달러(한화 약 19조원)로, 미국 전체 수입 자동차 부품 중 한국산 비중은 6.4%에 달한다.

 

지난달부터 관세 여파는 반영되기 시작했다. 지난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4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대미 자동차,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품목별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지난달 대미 수출은 106억 달러로 전년 동월보다 6.8%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자동차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3.8% 줄어든 65억 달러로 집계됐다. 내연기관차 및 순수 전기차는 각각 43억 달러(-43.0%), 7억 달러(-23.0%)로 감소했다.

 

최종 소비자 가격이 오르는 상황에서 외국산 부품에 대한 수요 위축으로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부품업계의 타격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정서 기자 adien10@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