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 대기업 오너일가가 비상장 계열사를 통해 당기순이익을 웃도는 고배당을 받은 사실이 감사보고서를 통해 드러났다. 일부 기업은 적자를 기록하고도 배당을 시행하기도 했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게시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GS그룹 계열 비상장사인 삼양인터내셔날은 최근 1년여간 100억 원의 배당을 실시했다. 이는 같은 기간의 당기순이익 약 91억9000만원을 초과하는 규모로, 최대주주 허준홍 삼양통상 사장 등 GS그룹 4세 일가 3인이 대부분을 수령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같은 그룹의 비상장 계열사인 삼정건업과 승산도 각각 52억원과 80억원의 배당을 해, 총 230억원 이상의 배당금이 오너 일가에게 지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카카오 김범수 창업자가 100% 지분을 보유한 비상장사 케이큐브홀딩스는 지난해 약 33억5000만원의 순손실에도 불구하고 150억원의 배당을 단행했다. 이는 적자임에도 불구하고 마이너스 배당성향(-447.1%)을 기록한 사례다. 전년도에는 이보다 많은 600억원의 배당이 있었으며, 카카오 측은 해당 배당이 김 창업자의 기부 계획에 따른 자금 확보 목적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부영그룹 비상장사인 광영토건은 지난해 14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며, 이 중 194억4000만원을 이중근 회장과 장남 이성훈 부사장에게 배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순이익보다 약 50억 원 많은 수준이다.
하림그룹 계열 닭고기 가공업체 올품도 약 39억7000만원의 순이익을 올리고, 김홍국 회장의 장남 김준영 씨에게 42억4500만원을 배당했다. 효성그룹의 효성투자개발은 당기순이익 약 270억원보다 많은 400억원을 배당했고 이 가운데 약 164억원이 조현준 회장에게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현대백화점그룹 산하 한무쇼핑은 정몽근 명예회장에게 약 19억원을 배당했으며, 현대백화점과 현대쇼핑, 한국무역협회 등도 주요 배당 수령처로 명시됐다.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현대머티리얼은 지난해 25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리고, 최대주주인 정일선 현대비앤지스틸 대표이사에게 약 3억원을 배당했다. 배당성향은 1.19% 수준이었다.
이번 공시는 감사보고서가 공개된 일부 비상장사에 국한된 것으로 실제 배당 규모는 알려진 것보다 더 클 가능성도 있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