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유휴부지에 신속 주택공급, 성대야구장 등 2027년부터 착공”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공급 확대방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9·7 주택공급 대책에서 발표한 도심 내 유휴부지를 활용한 주택 공급이 2027년부터 기지개를 켠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언론에 배포한 참고자료에서 서울 도봉구 성균관대 야구장 등 유휴부지를 활용한 주택 공급 추진 현황과 일정을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최근 국토부는 9·7 주택공급 대책에서 성대 야구장 부지(1800가구)를 비롯해 송파구 위례업무용지(1000가구), 서초구 한국교육개발원(700가구), 강서구청 가양동 별관·강서구의회·강서구보건소 이전 부지(558가구)에 생활 사회기반시설(SOC)과 주택을 복합 개발해 2030년까지 4000가구를 공급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국토부는 이들 부지를 활용한 공급이 관할 자치구나 주민 반대로 차질이 빚을 수 있다는 지적에 “이번 대책에 포함된 곳은 신속한 주택 공급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관계기관 등과 의견 조율을 통해 상당 부분 협의를 진행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성대 운동장과 위례업무용지는 2027년 착공, 한국교육개발원과 강서구 공공청사 부지는 2028년 착공을 목표로 토지 매입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부지별 특성·위치 등을 고려해 임대주택뿐 아니라 분양주택도 포함해 공급 예정이며, 분양·임대주택 규모는 지자체 등의 의견을 수렴해 결정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공택지에서 직접 시행을 맡고 건설사에 시공을 맡기는 ‘도급형 민간참여사업’에 대한 일각의 우려에 관해서도 해명했다. 낮은 공사비 책정으로 주택 품질이 떨어질 가능성에 관해서는 "준공일까지 물가 변동 등 원가 상승 요인을 반영해 공사비 조정이 가능하도록 2023년 제도를 개선했다"며 "앞으로도 업계 의견을 들어가며 적정 수준의 공사비가 책정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대형 건설사가 브랜드 가치 하락과 낮은 마진 등을 우려해 사업 참여를 꺼릴 것이라는 지적에는 "최근 2년간 도급형 민간참여사업에 선정된 17개 건설사 중 64.7%(11개사)가 시공능력평가 30위권 이내이고 94.1%(16개사)가 100위권 이내"라며 "앞으로도 건설사 참여도를 높일 다양한 유인책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국토부는 이번 주택 공급방안 중 하나로 추진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시즌2′ 사업이 5년간 5만가구 착공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임기 내 착공이 달성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