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소액결제 해킹 사태가 최소 지난달 초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찰 통보가 이뤄진 지난 1일 이후에도 109건의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져 KT의 축소·은폐가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T가 파악한 지난달 5일부터 이달 3일까지 피해 고객 278명의 결제 건수는 총 527건이다.
피해는 총 16일에 걸쳐 발생했는데 최초 발생일은 지난달 5일로, 사건이 언론 보도로 최초 알려지기 시작한 시점보다 한 달이나 앞서 있었다.
지난달 5일부터 20일까지 한자릿수 대에 머물던 소액결제 해킹 건수는 21일과 26일에는 각각 33건, 27일에는 106건으로 급증했다.
이후에도 결제 건수는 두 자릿수에서 오르내려 뚜렷이 늘어난 추세를 보였다. 지난달 21일을 기점으로 피해 규모가 확대된 점을 들어 해커들이 사전에 예행연습을 거쳤다는 추측도 제기된다고 황 의원은 전했다.

KT는 지난 1일 수사기관으로부터 소액결제 피해 분석을 요청받고도 미흡하게 대응해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실제 지난 2~3일 피해건수만 109건에 달한다.
황정아 의원은 “최소 8월 5일부터 이상 신호가 있었는데 KT의 축소·은폐 시도로 피해가 막대해졌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즉각적인 전수조사를 통해 피해 상황을 국민들께 소상히 보고하고 축소·은폐 행위를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막대한 경제적 제재를 가해야 재발 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화연 기자 hy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