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NIM 빨간불…수익 악화 어쩌나

기준금리 대폭 하락…이자이익 최대 3조5000억 감소 전망
우량업체 위주 대출 확대·건전성 관리 강화등 대비책 시행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하락하면서 은행의 대표적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 역시 우하향 곡선을 그릴 것으로 전망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세계비즈=오현승 기자] 한국은행이 지난 16일 기준금리를 50bp 대폭 낮추면서 은행권의 순이자마진(NIM) 방어에 빨간불이 커졌다. 시중금리가 내려가면 일반적으로 은행의 수익성은 나빠진다. 따라서 은행권에선 NIM 하락폭을 최소화하는 게 핵심 경영과제일 수밖에 없다.

 

NIM은 금융회사가 자산을 굴려 얻은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빼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눈 값으로, 은행의 대표적 수익성 지표 중 하나로 꼽힌다.

 

시장금리가 내려가면서 국내 은행권의 NIM은 지난 2018년 4분기를 단기 고점(1.69%)을 찍은 뒤 꾸준히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5일 내놓은 ‘2019년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을 보면 지난해 4분기 국내은행의 NIM은 1.46%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bp나 급락했다. 

 

대상을 국내 4대 은행으로 좁혀봐도 NIM 하락세는 크게 다르지 않다. 신한은행의 지난해 4분기 NIM은 전분기 대비 7bp 하락한 1.46%을 기록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NIM은 1.41%, 1.37%로 전분기에 견줘 각각 6bp, 3bp 하락했다. 4대 은행 중에선 국민은행의 NIM이 1.61%로 가장 높았지만 마찬가지로 전분기 대비 6bp 하락했다.

 

기준금리가 예상보다 가파르게 떨어지면서 올해 은행의 NIM 하락폭 역시 전망치를 뛰어넘을 전망이다. 올 한해 NIM 하락폭이 10bp를 넘어설 거란 부정론도 나온다.

 

은행권은 올해 NIM 하락에 대비해 우량 여신 확대 및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와 은행간 경쟁 심화로 은행 NIM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건전성 관리와 함께 여신성장을 통한 이자이익 방어를 비롯해 비이자이익 부문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도 “금리인하는 조달비용이 낮아진다는 측면에선 장점이지만 이자이익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우량기업체 위주의 대출 관리를 강화하고 외환, 방카슈랑스, 신탁 등 비이자이익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급여이체계좌 유치 등 저원가성 예금을 늘려나가는 것도 NIM 방어를 위한 과제다. 지난해의 지난해 4대 은행 중에선 신한은행(-1.0%포인트)을 제외한 국민·하나·우리은행은 핵심예금의 비중은 0.3~1.7%포인트가량 증가했다.

 

다만 시장금리 하락에 강력한 부동산 대출억제 정책을 고려하면 떨어지는 수익성을 만회할 여지는 크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2금융권보다는 상황이 낫다고는 하지만 코로나19에 따른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피해가 커질 경우 이 역시 은행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금융연구원은 “오픈뱅킹 본격 시행에 따른 경쟁심화와 저금리 환경의 지속으로 올해 은행들의 NIM이 더욱 하락할 것”이라며 “대출자산 성장세 둔화와 금리 하락세가 더 강력하게 나타날 경우, 국내은행 이자이익은 기본 전망 보다 최대 3조 5000억 원가량 감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hsoh@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