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력해지는 ‘번아웃 증후군’, 전문가 도움으로 극복할 수 있어”

사진=성모연정신건강의학과

[세계비즈=황지혜 기자] 새해가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언가 새로운 것에 도전하기 위한 시도를 하거나 다짐을 한다. 하지만 이와 달리 기력이 없고 극심한 피로감과 일하기가 싫어지는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사람들도 있다. 이런 경우 ‘번아웃 증후군’이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번아웃 증후군은 1974년 미국의 정신분석가 허버트 프로이덴버거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으며 한 가지 일에 몰두하는 사람이 장기적으로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육체적, 정신적으로 극도의 피로를 느끼게 되어 탈진에 이르는 상태로 정의된다. 번아웃 증후군은 무기력증, 직무거부, 자기혐오 등과 같은 증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매사에 의욕이 저하되기 쉽고 성취감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더불어 공감 능력까지 떨어져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번아웃 증후군은 대체로 심리적으로 완벽주의적 성향을 갖은 사람, 경쟁적인 특성이 심한 사람 중 특히 남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마음이 큰 사람에게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성모연정신건강의학과 조현식 원장은 “번아웃 증후군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꼽은 현대 직장인에게 가장 위험한 증상으로 현대인들에게 흔하게 찾아오지만 정작 본인들은 심각하게 여기지 않아 치료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간혹 번아웃 증후군과 우울증을 혼동하기도 하는데 우울증은 만성적으로 슬픈 감정이 꾸준하게 반복되는 반면 번아웃 증후군은 한두가지 영역과 관련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데 차이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조 원장은 이어 “만약 평소와 달리 기력이 없고 쇠약해진 느낌, 쉽게 짜증이 나고 노여움이 솟는 느낌, 맡은 일을 하지만 정서적으로 지친 느낌, 만성적으로 감기, 요통, 두통과 같은 질환에 시달리고, 스트레스로 인해 음주, 흡연 등이 잦아지는 행동이 지속된다면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본인의 상태를 점검해 보는 것이 좋다“며 “본인 스스로 과도한 스트레스를 통제하지 못하고 감정적으로 쌓아 둘수록 감정 조절이 어렵고 깊은 생각을 하지 못하는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런 감정을 스스로 극복하려고 하기보다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증상에 맞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 치료를 받는 것이 빠른 일상 회복에 도움이 된다”라고 덧붙였다. 

 

번아웃 증후군은 본인의 정신 상태가 나약해서 찾아오는 것이 아니며 의욕적으로 최선을 다해 살아온 사람에게 나타날 수 있는 만큼 현대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겪을 수 있는 증상이다. 제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시 우울증, 공황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시기를 놓치지 않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일상이 힘들고 지칠 때 마음을 내려놓고 충분한 휴식을 통해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려는 연습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