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건강 망치는 치주질환, 잇몸치료로 회복해야

[정희원 기자] 구강 건강은 오복 중에 하나라는 말이 있을 만큼 모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중 하나다. 관리에 소홀하면 잇몸뼈가 주저앉아 충치가 없어도 치아가 흔들려서 발치하게 되는 풍치가 발생한다. 치아의 개수가 모자랄수록 저작기능 또한 저하되어 음식물을 소화시키기 어려워진다. 이는 신체기능이 떨어지는 어르신들의 경우 더 크게 다가오게 되므로 젊을 때부터 계속해서 신경 써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칫솔질로 미처 닦이지 않은 음식물 잔사가 누적되면 치태, 치석 순으로 변하게 된다. 이런 현상이 원인이 돼 치은염이 발생한다. 본래 코랄 빛이던 잇몸이 붓고 붉은빛을 띠게 되거나 양치할 때 피가 섞여서 나오는 것으로 치주질환을 자가 진단 할 수 있다. 이때 잇몸 치료가 필요하다고 몸에서 보내는 신호라고 생각하고 빠른 시일 내로 치과를 찾아가야 한다. 이 단계에서는 스케일링을 통해 간단히 치료할 수 있다. 이전의 건강한 잇몸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시기이다.

 

만일 치료 시기를 놓치게 돼서 치석이 몸집을 부풀리며 잇몸 아래 깊은 곳으로 내려가면 치은염이 치주염으로 악화된다. 치석은 잇몸 뼈를 녹이면서 크기를 키워가기 때문에 잇몸치료를 받고 치석이 제거된 후에는 치아가 흔들린다고 느끼거나, 시린 증상이 생겼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정의태 연세에이스치과 원장은 "소실된 잇몸 뼈는 다시 그 높이를 회복하지 않고 재발도 쉽다. 염증으로 더 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본인의 구강 관리 능력에 맞게 의료진이 권장하는 시기에 맞춰 잇몸치료를 주기적으로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잇몸치료는 늦게 시작할수록 불리하다. 치주염이 만성으로 진행될수록 잇몸 퇴축, 치조골 소실 등의 증상이 심해지며 추후에는 임플란트를 원해도 식립하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도 있으므로 늦기 전에 증상 확인 후 치료를 시작하기를 바란다”고 조언했다.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