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목 뼈는 어떤 모양인가요? 일자목·거북목 증후군 조심해야

성인의 머리는 작은 볼링공 하나 정도에 해당하는 4.5~6kg에 달한다. 이처럼 무거운 머리를 부담 없이 지탱하기 위해 사람의 목 뼈는 C자 형태의 곡선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고개를 숙이게 되면 목뼈의 정상적인 형태가 유지되지 않아 부담이 늘어나게 되고 머리의 하중 자체도 계속 늘어나 목과 어깨 주변의 조직이 혹사당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개를 15도 숙일 때마다 약 5kg의 무게가 늘어난다고 보고 있으며 고개를 60도만 숙이더라도 20kg짜리 쌀 한포대가 목에 걸리는 상황이 되고 만다.

 

얼핏 생각하기엔 고개를 숙이는 일이 없을 듯 하지만 놀랍게도 많은 현대인들은 자기도 모르게 고개를 숙인 채 하루를 보낸다.

컴퓨터 모니터가 자신의 눈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한 상태라면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 내내 고개가 숙여진 상태라고 봐야 한다.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를 이용할 때에도 마찬가지다. 자신의 눈높이에 맞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지 않는 한, 필연적으로 고개가 앞으로 숙여진 상태가 된다.

 

컴퓨터 작업 등에 집중하다가 문득 목과 어깨가 뻣뻣함을 느끼는 것도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목뼈의 곡선이 점점 사라지며 목뼈가 일자형태로 변하는 일자목 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어깨를 기준으로 머리가 중심선에 있지 않고 앞으로 거북이처럼 내밀어져 있는 거북목 증후군으로 악화될 수 있다.

 

이러한 목뼈의 변화는 목과 어깨에 지속적인 통증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머리와 신체로 이어지는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두통이나 현기증, 안구통증, 이명 등 여러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목뼈의 특정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며 내부 추간판이 손상되어 자리를 이탈하게 만들어 목디스크, 경추추간판탈출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목과 어깨의 지속적인 통증을 방치해선 안 되며, 되도록 초기에 진단을 받아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초기 질환이라면 도수치료나 약물치료를 비롯한 비수술치료만으로도 충분히 개선될 수 있으며 더 이상 경추가 변형되지 않도록 물리치료, 재활치료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물론 일상 생활의 악습을 타파해야 목뼈 건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킬 수 있으므로 바른 자세와 생활태도에 대한 고민과 실천이 필요하다.

 

비수술치료를 충분히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개선되지 않을 때에는 신경차단술 등의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만일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힘들 때에는 수술을 통해 신경의 압박을 해소하는 방법도 고려해보아야 한다. 단, 수술이 필요한 목디스크 환자는 전체 환자의 20~30%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조혜용 여주바른정형외과 원장은 “경추 변형은 현대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고질적인 문제로, 적극적으로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면 만성적인 장애나 마비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증상이 경미할 때 즉시 치료를 시작해 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스스로 건강한 습관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