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시림·통증 지속된다면… 방치 말고 안과 검진 받으세요

봄철에는 눈 건강이 악화될 수 있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눈은 신체 장기 중 유일하게 점막이 노출되어 있는 기관으로 외부 자극에 매우 민감하다. 특히 봄철에는 꽃가루, 황사, 미세먼지 등으로 안구 질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눈 건강에 각별히 신경써야 할 필요가 있다.

 

봄철에 흔히 발생하는 안구 질환으로 안구건조증, 알레르기 결막염, 다래끼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안구건조증은 봄 뿐 아니라 1년 내내 전 연령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안과 질환이다. 봄철에는 미세먼지, 황사로 인해 눈 표면을 유지하는 눈물막의 불균형으로 안구건조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울러 휴대폰·컴퓨터·독서 등의 근거리 작업, 건조한 주변 환경 및 건조 증상을 부추기는 생활습관 역시 안구건조증 발생 원인이다. 안구건조증 발생 시 눈이 자주 뻑뻑하고 피로하며 이물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심할 경우 상처로 인해 눈을 뜨기 힘들 정도로 시림 증상 및 통증을 경험한다.

 

오랜 기간 안구건조증에 의한 통증을 방치하면 합병증 발병 가능성마저 높아진다. 따라서 불편 증상이 지속된다면 안과에 내원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알레르기 결막염 유발 원인으로는 꽃가루, 미세먼지, 황사 등으로 인한 환경적 요인이 꼽힌다. 다만 개인 별 면역력 저하로 인해 발병률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건강관리가 중요하다.

 

평소 렌즈를 자주 착용하거나 알레르기 결막염 기왕력이 있다면 결막염 증상이 쉽게 악화될 수 있다. 게다가 시력 저하와 같은 합병증마저 발생할 수 있다. 가려움, 충혈, 눈곱, 결막 및 안검 부종 등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날 경우 안과에 내원하여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다래끼 발생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꽃가루, 미세먼지가 많아지는 봄철 또는 눈을 비비거나 만지는 습관 등으로 자주 발생한다. 다래끼는 눈꺼풀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화농성 감염을 통해 생기며 고름을 형성해 통증 및 부종 증상을 일으킨다.

 

다래끼 발생 시 온찜질 및 항생제 복용 및 연고 도포로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악화될 경우 절개 배농을 통해 염증을 가라앉히기도 한다.

 

서장원 춘천 그랜드우리안과 원장은 “봄철에는 꽃가루, 미세먼지, 황사 등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과 위생 관리의 문제로 인해 안과 질환이 많이 발생하므로 예방 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손을 자주 씻고, 눈 주위 만지지 않기, 미세먼지 및 황사 농도를 확인하며 심할 경우 외출 삼가기, 적정 실내 습도 유지 및 환기 지키기, 안과 방문 후 적절한 치료와 관리 실천하기 등을 꼽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