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검하수는 말그대로 눈꺼풀이 처진 상태를 의미한다. 사람의 눈은 이마를 사용하지 않고 정면을 응시했을 때 윗눈꺼풀이 검은눈동자(각막상연)의 윗부분을 1~2mm 이하 가리고 있 을 때 가장 이상적이라고 볼 수 있다.
만일 2mm 보다 더 가리게 되면 이것을 ‘안검하수가 있다’고 진단할 수 있다. 안검하수가 있으면 평소 졸려보이고 답답해 보이는 인상을 만드는 등 미용적인 문제도 있지만, 증상이 심하면 시야장애, 눈가짓무름 등의 기능적인 불편도 초래할 수 있다.
안검하수는 나이가 듦에 따라 눈뜨는 근육의 기능이 약해져서 후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선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젊은 연령대에서도 겪을 수 있다.
안검하수의 원인은 크게 보면, ‘피부’와’ ‘근육’ 두 가지 문제로 나눠볼 수 있으며, 피부가 원인인 안검하수는 ‘가성 안검하수’, 근육이 원인인 안검하수는 ‘진성 안검하수’라고 부른다.

가성 안검하수는 눈뜨는 근육의 힘은 정상이지만 ‘눈꺼풀 피부처짐’이 원인이 되는 경우다. 이때는 처진 조직을 일부 절제하고 쌍꺼풀을 만들어주면 또렷한 눈매를 만들어 줄 수 있다.
반면 진성 안검하수는 상안검거근의 기능 저하가 원인으로 꼽힌다. 눈뜨는 힘이 약해 눈꺼풀이 아래로 처지기 때문에 이때는 쌍꺼풀수술만으로는 증상을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고, 눈뜨는 힘을 강화해 주는 ‘안검하수 수술’이 필요하다.
안검하수 수술은 눈뜨는 근육의 기능이 얼마나 남았는지에 따라 수술법이 달라진다. 만일 상안검거근의 기능이 어느 정도 남아있다면 상안검거근의 ‘단축술’ ‘절제술’ 등으로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지만, 기능이 많이 떨어진 경우라면 공통근막수술(CFS수술) 혹은 이마근 전이술과 같은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안검하수는 원인, 증상 정도, 기능 정도 등에 따라서 수술 방법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눈 상태에 맞춘 맞춤형 접근이 필수적이며, 단순히 미용적 변화만을 기대하기보다는 눈의 건강과 기능을 고려한 정확한 평가와 수술이 필요하다.
서효완 라이블리성형외과 대표원장은 “안검하수 수술은 개인의 눈 특성과 근육 상태에 따라 수술법이 달라지는 예민하고 정교함이 요구되는 수술”이라며,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의를 통해 1:1 맞춤형 상담과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수술을 진행한다면, 눈의 기능 회복과 외형 개선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 전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