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조지아주 이민당국 구금시설에 있는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이 이르면 11일 한국행 전세기를 탈 것으로 보인다. 또 추방이 아닌 자진출국 형식으로 귀국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구금된 한국민에 대한 영사 지원을 총괄하고 있는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는 8일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미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서 취재진과 만나 이들의 귀국 시점에 대해 “수요일(우리 시각 11일)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마련한 전세기는 포크스턴 구금시설에서 차로 50분가량 떨어진 플로리다주 잭슨빌 국제공항에서 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이들 근로자 모두 향후 미국 입국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추방이 아니라 자진출국 형식으로 귀국할 것이란 이야기도 나왔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구금된 한국인들을 자진출국 형식으로 귀국시키는 방향으로 미측과 협의를 이어왔다.
포크스턴 구금시설에 있는 한국인 근로자들은 이민당국으로부터 즉시 추방돼서 5년간 입국 제한을 받을지, 구금된 상태에서 몇 달 안에 재판받을지 등의 선택지를 제안받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만일 ‘추방’ 형식으로 석방이 이뤄질 경우 향후 수년간 미국 입국 금지나 비자 인터뷰 불이익 등이 따를 수 있어 정부는 국민과 기업의 피해가 최소화하도록 추방 기록을 남기지 않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기 위해 노력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이날 미국으로 출국해 미 행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석방 교섭 절차를 마무리 짓고 향후 유사사례 재발 방지를 위한 비자 제도 개선 등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5일 미 이민 당국은 조지아주 엘러벨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이민 단속 작전을 벌여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해 475명을 체포·구금했다.
대통령실은 7일 석방 교섭이 마무리됐다고 밝히며 “행정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전세기가 우리 국민 여러분을 모시러 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준호 기자 tongil77@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