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젊은 유방암 환자, 갈수록 증가… 정기 유방검사 필요

유방암은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최근에는 유방암 발병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며 20대와 30대 여성에서도 유방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은 초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이 매우 높지만, 초기 증상이 매우 미미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과 자가검진이 아니라면 조기 발견이 어렵다. 우리나라에서는 40세 이상 여성에게 유방촬영술 검사를 지원하고 있으나 20~30대도 유방암의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개개인의 상황에 맞게 검진 시기를 조절해야 한다.

 

유방암 검진은 유방 촬영술, 유방초음파 검사 등을 기본으로, 필요 시 조직검사까지 진행한다. 우리나라는 치밀유방인 여성이 많아 유방초음파 검사의 역할이 크다. 치밀유방은 유선조직이 밀도가 높아 유방촬영술만으로는 암을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유방초음파 검사까지 추가로 진행하면 유방의 미세한 변화를 더욱 확실히 관찰할 수 있다.

자가검진도 중요하다. 매달 일정한 날짜에 자가검진을 통해 유방의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자가검진은 거울을 보며 유방의 형태와 피부 상태를 확인하고 손으로 유방을 부드럽게 만져서 혹이나 멍울을 찾아보는 방법이다.

 

또한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오는지 확인하고 피부가 오렌지 껍질처럼 변한 것은 아닌지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가검진은 로션을 바르거나 샤워 중 거품을 이용해 부드럽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생리가 끝나고 3일 후에 진행하는 것이 좋다.

 

유방암을 확실히 예방하는 방법은 없지만 가급적 고지방, 고칼로리 음식을 피하고 체중을 관리하는 등 생활 습관 개선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음주나 흡연을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건강을 관리해야 한다. 유방암은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만일 유방암 가족력이 있다면 건강 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한다.

 

만일 검사 과정에서 유방에 종양이 발견되었다면 조직검사를 통해 양성인지 악성(유방암)인지 확인해야 한다. 영상의학검사를 통해 종양의 정체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는데, 양성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맘모톰을 이용해 최소침습 방식으로 조직을 제거, 채취할 수 있다. 끝에 작은 톱날이 달린 바늘을 찔러 넣어 종양을 제거, 흡입하는 방식으로 피부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진행할 수 있어 조직 손상이나 흉터에 대한 우려가 적은 편이다.

 

맘모톰의 장점은 다른 검사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통증과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유방 조직검사 방법에 비해 비교적 적은 부작용과 상처를 남기지 않아, 검사 후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용이하다. 의사가 실시간으로 유방 초음파를 통해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며 조직을 채취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고 검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김영주 천안 앙즈로여성병원 대표원장은 “유방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자주 자가검진을 하고 정기적인 유방암 검진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40대 이상 여성은 2년에 한 번 유방촬영술을 받아야 하며, 유방암의 가족력이 있거나 유방에 이상을 느낀 경우, 더 자주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또한, 유방암은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할 경우 치료가 용이하고 생존율도 높아지므로 20대와 30대 여성들도 자가검진을 습관화하고 필요 시 유방초음파나 맘모톰을 통한 정밀검사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