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에서 대형 땅 꺼짐(싱크홀)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정부가 전국 대형 굴착공사장에 대한 특별점검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지하안전관리체계 개선 전담 조직(TF) 8차 회의를 열고 자체별 지하안전 관리실태와 지반침하 대응계획을 점검하고, 지하안전관리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행정안전부와 전국 17개 광역 지자체, 한국지반공학회 등이 참석했다.
최근 전국 곳곳에서 크고 작은 싱크홀 현상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시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서울 강동구 명일동 일대 땅꺼짐과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붕괴 사고로 사망자까지 발생했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 21일부터 5월 말까지 전국 대형 굴착공사장 98곳을 대상으로 특별 대점검에 들어갔다.
이날 회의에선 최근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의 대응현황, 원인분석 결과, 특별관리계획 등이 발표 및 공유됐다. 한국지반공학회는 현재 진행 중인 지하안전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의 주요 내용과 지자체 협조 필요사항에 관해 설명하고, 주요 과업에 대한 지자체의 의견도 수렴했다. 또 국토부는 특별 대점검 시 해당 지자체의 협력과 함께,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지반탐사와 신속한 공동 복구, 관내 굴착공사장의 안전관리 강화 등을 요청했다.
아울러 국토부는 오는 6월까지 명일동, 일직동 지반침하 사고조사위원회 조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사고조사 결과를 발표할 때는 조사 내용과 연구용역을 토대로 굴착공사장 안전관리 강화방안을 함께 발표하기로 했다.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최근 연이은 지반침하 사고로 인해 국민들의 불안과 우려가 큰 만큼, 관계부처, 지자체, 민간 전문가 등과 함께 지하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