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점과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점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히자, MBK와 홈플러스가 공동 입장문을 내고 해당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 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최소 다음 달 말까지 홈플러스 사태 태스크포스(TF)를 지속 가동해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MBK 검사 및 홈플러스 회계 감리 등을 통해 제기된 불법 의혹을 지속적으로 살필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MBK 측이 회생 신청 이후 책임감 없는 모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상황이 5~6월까지 이어진다면 향후 법원 회생 계획안 합의 과정에서 오히려 채권자 등이 정상화 지연에 대해 더욱 비난받고 양보를 강요받는 역설적인 상황까지도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MBK와 홈플러스는 즉각 공동 입장문을 내고 회생 신청의 계기가 된 신용등급 하락을 예견하지 못했으며, 회생절차도 미리 준비한 바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회생을 사전에 준비하면서 매입채무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사기 발행한 것 아니냐는 주장에 반대되는 입장이다.
MBK∙홈플러스는 “2월 25일 오후 4시쯤 한국기업평가로부터 신용등급 하락 예정 사실을 최초 통지받고 즉시 이의신청을 준비해 이튿날 오후 2시 한국기업평가 담당자들을 면담했다”며 “이 자리에서 홈플러스에 대한 MBK의 1000억원 자금 보충 약정과 홈플러스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상환조건 변경안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용등급하락을 예견했다면 자금보충약정과 상환전환우선주 조건 변경은 2월 신용 정기평정 심사 이전에 제시됐어야 한다”며 “예정통지를 받은 후에 이러한 조치들을 취했다는 것은 신용등급하락을 사전에 예견하지 못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MBK∙홈플러스는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2월 27일 오후 신용등급 하락이 확정됐고, 28일 오후에는 ABSTB∙기업어음 발행사인 신영증권으로부터 ‘하락한 신용등급으로는 기존에 융통해오던 단기 운전 자금 규모의 40% 정도 밖에 구할 수 없다’는 점을 전달받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에 따라 추가적인 유동성 확보가 어려워져 5월 말이면 대규모의 현금 부족액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2월 28일 오후 회생신청 서류작업을 위한 실무에 착수했다”고 덧붙였다.
사기적 부정 거래 의혹이 제기된 ABSTB 문제에 대해선 “ABSTB의 발행·판매·재판매의 거래 당사자가 아니며, 해당 거래에 관여한 바가 없다”고 반박했다. 올해 2월 25일 ABSTB 발행은 24일 신영증권 측에서 확인받았지만 이때는 신용등급 하락 통지를 받기 하루 전의 일이었고, 당시에도 정보를 받기만 했을 뿐 어떤 의사결정이나 지시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화연 기자 hy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