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에 갑자기 굳은살이 생기지는 않는다. 대개 반복적으로 마찰이 일어나고 압력으로 나타난다. 신발을 오래 신어 관절이 돌출된 부분인 엄지와 새끼발가락 측면부에 굳은살이 생기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
꽉 맞는 신발을 신거나 오래 걷는 경우 피부에 압력으로 작용하고 뾰족하거나 굽이 높은 구두는 발을 조이게 해서 무지외반증처럼 발 모양을 변형시키기도 한다.
이때 체중이 골고루 분산되지 못해 한 곳에만 압력이 가해지면 굳은살이나 티눈이 생기게 된다.

특히 한여름에는 딱딱한 샌들이나 조리를 즐겨서 신는 사람들이 많아 발에 자극이 더해지고 티눈이나 굳은살이 여름마다 재발하는 경우도 있다.
조주원 청담 튼튼병원 족부센터 원장은 “굳은살은 손과 발을 자주 쓰는 사람들에게 잘 생기고 부위와 모양도 다양하다”며 “꾸준히 압력이 가해지던 일이 사라지면 굳은살도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반면 티눈은 피부 표면에서 시작된 굳은살이 지속적인 자극으로 자라지 못해 내부로 향하면서 중심부에 깊은 뿌리 즉 핵을 가지게 된다”고 덧붙였다.
굳은살은 대부분 통증을 야기하지 않는다. 하지만 티눈은 핵의 하부의 날카로운 부분이 신경을 자극하면서 날카롭게 찌르는 통증이나 감각을 일으킨다.
티눈은 덥고 습해질수록 염증으로 덧나기도 쉬우며 여름에 양말을 신지 않고 맨살로 신발에 닿을수록 더욱 자극이 될 수 있다.
티눈으로 해당 부위 자극이 있을 때 압력 제거를 위해 보조물이나 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간 지속되었다면 티눈을 제거하는 레이저술 등을 고려해 봐야 한다.
굳은살이 심해 발뒤꿈치가 갈라지고 피가 나는 등 통증이 생긴다면 2차적 세균 감염 우려가 있다. 이럴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치료를 받아야 하며 평소에 정기적으로 제거하는 등 관리에 나서야 한다.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