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묘년 화두는 ‘건강’]직원 건강이 경쟁력...'웰니스' 프로그램 지원 기업 늘어난다

삼성전자 DS부문 헬스케어센터의 이비인후과 진료 모습. 사진 삼성전자

 

[권영준 기자] ‘직원 건강이 곧 기업의 경쟁력이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적 자본(Human Capital)’ 개념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직원들의 신체 및 정신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킴으로써 업무 집중력, 효율성, 창의성까지 전체적인 노동력의 질적· 양적 향상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불안정과 불연속성이 심화되면서 ‘인적자원(Human Resources)’ 관리가 비즈니스 리더의 과제 중 주요 항목으로 꼽히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의 인적자원 관리는 ESG 개념 중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 하나로 임직원의 근로조건, 고용 평등, 다양성, 보건 및 안전 등의 내용이 주를 이뤘다”면서 “최근에는 더 나아가 건강과 복지 등의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ESG 경영에서 한걸음 나아간 행보”라고 설명했다.

 

 

실제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2023 기업 인적자원 트렌드(2023 HR Trends)’를 발표하면서, 팬데믹 이후 기업 내에서는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문화와 전반적인 복지(People-First Culture and Overall Well-Being)’를 중요한 인적자원 관리 중 하나로 꼽았다. 리서치 전문기업 카트너 역시 기업에서 포괄적인 웰빙 프로그램을 제공하면 직원의 헌신과 동기 부여가 2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발 먼저 움직이고 있는 기업들은 임직원들의 정신 건강, 신체 활동 증진 등을 유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우선 삼성전자 DS부문은 의료기관 및 건강관리 시설 등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각 사업장 병원을 포함해 마음건강클리닉, 근골격센터 등에서 진료와 처방을 받을 수 있다. 여러 의료시설 내 근무하는 보건전문인력(직업환경의, 산업전문 간호사 등)만 80여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근골격계 예방운동센터’는 운동관리전문가 자격을 보유한 전문 인력이 1대1로 통증 부위 맞춤 운동을 지도하고 있고, 3D 체형분석 및 족저압 검사 등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후유증 치료를 지원하는 ‘DS 롱코비드 클리닉’을 신설했다. 여기에 임직원과 가족들을 대상으로는 건강검진 및 의료비가 지원되며, 휘트니스 센터, 수영장, 축구장, 농구장, 탁구장 등 다양한 사내 스포츠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 DS부문은 보건복지부(복지부)로부터 ‘2022년 건강친화기업 인증’ 사업에서 우수기업으로 선정돼 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SK하이닉스도 올해 사내 부속의원을 리모델링해 하이메디컬 클리닉으로 신설했다. 이에 응급의학과와 안과를 신설했으며, 반도체 업계 특성에 맞춰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예방을 위해 물리치료실과 검사실의 인력과 장비를 충원했다.

 

 

GS리테일은 임직원의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지원하는 전문 상담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멘탈헬스케어 전문기업 이지앤웰니스와 손잡고 전문 심리 상담 프로그램을 도입, 임직원 뿐 아니라 배우자, 자녀 등 임직원 가족까지 해당 전문 상담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기업에서 임직원 건강을 위해 도입하는 서비스를 전문으로 제공하는 B2B 프로그램도 인기다.

 

 

웰니스 복지 배달 서비스 ‘달램’은 사내 건강 복지를 희망하는 회사를 각 분야 전문가들(달래머)이 직접 방문해 스트레칭, 요가 강습, 교정 테라피 등 다양한 서비스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 중이다.

 

 

화이트큐브가 운영하는 건강습관 앱 ‘챌린저스’도 있다. 챌린저스는 하고 싶은 운동하기, 건강보조식품과 약 먹기 등 혼자 했을 때 지속하기 어려운 건강 행동들을 동료들과 즐겁게 이어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임직원 건강에 대한 투자에 대해 이전과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라며 “건강을 위한 기업 복지 서비스는 갈수록 세분화되고 고도화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