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리뷰] 공포영화보다 무서운 ‘콘크리트 유토피아’…남우주연상 부르는 이병헌

눈에 보이는 모든 건물이 무너졌다. 우리 아파트만 빼고. 혹한의 날씨, 정해진 양의 생필품 속 나를 무시하고 배척하던 이웃 동네 주민 수십명이 우리 아파트에서 함께 생활하자며 도움을 요청한다.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까. 이들을 받아들이고 공존할 방법을 찾아갈 것인가. 아니면 내 가족, 나의 안위를 위해 이들을 쫓아낼 것인가. ‘콘크리트 유토피아’(엄태화 감독)는 이 질문을 관객에게 끊임없이 던지는 영화다.

 

영화는 김숭늉 작가의 웹툰 ‘유쾌한 왕따’의 2부인 ‘유쾌한 이웃’을 원작으로 한다. 1부는 대지진으로 무너진 학교 지하실에 주인공 서동현을 비롯한 중학생들이 갇히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2부는 주인공 일행이 지하실을 탈출해 황궁 아파트로 온 이후의 일을 그린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이들이 아파트로 오기 전, 재난 직전·직후의 황궁 아파트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영화다. 소재부터 흥미를 끈다.

 

모든 땅이 꺼지거나 솟아오른, 디스토피아적인 상황에서 황궁 아파트는 유토피아로 떠오른다. 유일하게 내·외벽이 완벽하게 보존됐다. 자연히 함께 살자며 몰려드는 이웃 동네 생존자들. 외부인인 드림 팰리스 생존자들은 모피부터 무스탕까지, 입고 나온 때깔(옷)부터 다르다.

 

황궁 아파트 주민들 사이에서 조금씩 불만이 터져 나온다. 집을 나눠야 하는 불편함과 음식을 나눠야 하는 불안함. 이들에게 외부인은 ‘바퀴벌레’일 뿐이다. 

 

“황궁 아파트의 주민이 아닌 분들은 단지 밖으로 나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결국 주민들은 간접 살인 행위가 될 수 있는 ‘외부인 방출’을 무기명 투표로 결정한다. 결과는 방출. 영화는 주요 인물들이 어떤 선택을 했는지 보여주지 않는다. 민성은 명화의 질문에도 비밀투표라며 즉답을 피한다.

 

그리고 새로운 입주민 대표는 영탁(이병헌)이 됐다. 외부인이 아파트 1층 한 호실에 불을 질렀는데 앞뒤 재지 않고 뛰어들어가 무시무시한 불기둥을 잡았기 때문. 

 

 어딘가 어벙해 보이는 영탁은 어떤 위험도 마다치 않는 희생정신으로 주민들의 두터운 신임을 얻는다. 권력을 가질수록 그의 카리스마는 권력욕과 날카로운 이기주의로 변질된다. 

 

 아내를 지키는 것이 단 하나의 목표가 된 공무원 민성(박서준)은 가장 보통의 사람이다. 외부인을 쫓아내는 것에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만, 행위에 대한 가치 판단은 접어둔다. 지금 당장 안전한 것이 우선이다. 어쩌면 관객들이 가장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

 

명화(박보영)는 또렷한 눈빛으로 혼탁해져 가는 주민들을 바라보는 인물. 누군가에겐 답답한 소리만 하는 이상주의적 인물로 비쳐질 수 있지만 ‘인간은 인간다워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끔 만드는 캐릭터다. 또한 극의 흐름을 반전시키는 인물이다. 얼굴에 검댕이 묻어도 사랑스러운 ‘뽀블리’의 외형은 그대로지만, 말투도 눈빛도 그간 출연작과 분명 다르다. 자못 단단해진 박보영의 변신이 반갑다. 

 

 빠른 상황 판단력의 부녀회장 금애(김선영), 외부에서 살아 돌아온 혜원(박지후), 황궁 아파트 규칙에 비협조적인 주민 도균(김도윤)의 캐릭터로 적재적소에 빛난다. 특히 연기 잘하는 걸로 두말하면 입 아픈 김선영의 본능적인 연기는 어딘가 있을 법한 콘크리트 유토피아로 만든다.

 

 특히 이 영화는 다시 한 번 ‘이병헌’이라는 이름값을 제대로 보여준 영화다. 중반부 대중가요 ‘아파트’를 부르며 플래시백으로 넘어간 그의 과거, 돌아온 현재, 클로즈업으로 잡힌 영탁의 얼굴은 그동안 보여주지 않은 낯선 이병헌의 얼굴이 보인다. 놀랍다. 

 

 초반 외부인들과 싸우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은 그가 얼굴에 피를 철철 흘리며 “다 나가”라고 외치는 장면, 후반부 주민과 외부인을 상대로 싸우는 감정신과 액션신까지 이 영화는 ‘이병헌 연기 종합선물 세트’다. 영탁의 정체를 알고 난 뒤, 강렬한 등장에 비해 어딘가 어벙해 보였던 영탁의 모습이 이해된다. 그야말로 남우주연상을 부르는 연기다.  

 

 재난보다 사람이 더 무섭다. 웬만한 공포 영화보다 소름이 끼치는 영화다. 영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간군상 속 나는 어떤 인물에 가까울까.

 

 ‘평범한 사람들’이란 명화의 대사에 어쩐지 시커먼 내 머릿속이 들킨 기분이다. 영화를 보는 내내 생각이 많아진다. 

 

최정아 기자 cccjjjaaa@sportsworldi.com 사진 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