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조원 의약품 CDMO 시장 열린다… 한경협 “정부 지원 필요”

한경협이 글로벌 의약품 CDMO 시장 공략을 위해 국내 바이오 기업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최대 79조원 규모의 글로벌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이 열림에 따라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 기업을 향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3일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전 세계 매출액 상위 20개 바이오·합성의약품 중 12개가 2030년 이전 특허가 만료된다고 밝혔다. 미국, 일본, 대만 등에서 해당 시장 공략을 노리는 가운데 한국도 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가장 눈에 띄는 의약품은 머크(미국)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로, 매출액이 296억달러(약 43조 2000억원)에 이르는데 2028년 현지에서 특허가 만료된다. 이에 국내 대표 바이오기업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 암젠(미국), 산도스(스위스) 등 해외 기업들이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임상 3상에 착수했다.

 

이처럼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뜨거워지는 가운데 각국에서 시장 선점에 열을 올리고 있다. 미국은 인공지능(AI) 적용이 화두가 되면서 구글, 엔비디아 등 빅테크 기업들 바이오 산업에 투자하고 있다. 일본은 정부 차원에서 CDMO 사업에 3220억엔(약 3조2000억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 정부도 미국 바이오의약품 제조회사와 합작 투자사(TBMC)를 설립했다.

 

바이오 업계는 한국도 국가 차원에서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경협은 “CDMO는 임상 1상 단계부터 매출 실현까지 평균 5년 이상이 걸린다”며 “안정적 인력 충원을 통한 사업 추진을 위해 올해 말까지인 통합 고용 세액공제 적용 기한을 최소 10년 이상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한경협은 원료 의약품과 원료 물질 수입 시 통관 절차를 간소화해 원료 조달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시설의 제조위탁을 활용해 시설 투자 비용을 줄이는 법안을 통과시켜 기업의 사업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은 한국경제의 미래 핵심 성장동력 중 하나”라며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함께 중국 CDMO의 영향력을 차단하기 위한 미국 생물 보안법 통과 여부 등 국제환경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