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비즈=박혜선 기자] 갱년기는 남녀를 불문하고 나이가 들면 누구나 겪어야 한다. 노화를 시작되면 자연스럽게 호르몬 분비가 줄면서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겪게 된다. 사춘기 시절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것처럼 여러 증상이 발생해 제2의 사춘기로도 불린다.
갱년기는 생식과 내분비 기능이 저하하는 시기다. 신진대사 능력과 신체 기능이 저하되고, 심리적 변화도 일어난다. 남녀 모두가 겪어야 하지만 남성 갱년기는 여성 갱년기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여성은 폐경이라는 큰 변화로 인지하기 쉽지만, 남성은 느리게 진행되고 개인차가 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남성 갱년기는 30대 후반부터 노화로 인해 고환 기능이 저하되고,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줄어들면서 서서히 진행돼 변화를 느끼지 못할 때가 많다. 증상의 원인을 스트레스나 나이에 따른 당연한 변화로 여기고 간과하곤 한다.
하지만 남성 갱년기 증상은 50대 전후부터 뚜렷해 지고, 나이가 들수록 발병 빈도가 늘어나 60세 이후 30%가량이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증상은 발기력 감소 및 성욕 저하다. 피로감을 쉽게 느끼고 기억력이 저하를 동반할 수 있다. 우울증 증상도 자주 나타난다. 근력이 저하되고 체지방이 늘어나며 뼈도 약해질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연령 증가에 따른 뇌, 고환의 노화 현상으로 인한 남성호르몬 감소뿐 아니라 과도한 음주, 흡연,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 고혈압, 당뇨병, 간 질환 등의 신체적 요인이 결합돼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비뇨기과 전문의의 정밀진단 및 검사가 필요하다고 의료진들은 말한다.
비뇨기과에서는 남성호르몬 결핍에 해당되는 증상 및 징후가 있는지 확인하고 혈중 총 테스토스테론을 측정하는 호르몬 검사를 통해 보다 정밀하게 남성갱년기 여부를 판단한다. 검사 결과 치료가 필요하다면 개인별 원인, 증상, 진행 정도,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해 근육주사, 경구 용약제, 경피형 겔제제 등 남성호르몬 보충 요법제 등을 처방한다.
유쾌한비뇨기과 제주점 유현욱 원장은 “갱년기는 여성만 겪는 질환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남성도 중년의 나이가 되면 갱년기 증상을 겪을 수 밖에 없다”며 중년 이후의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여기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인생의 3분의 1에 달하는 긴 노년기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갱년기를 현명하게 극복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치료와 함께 의료진의 자문을 구해 생활 속에서도 남성호르몬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생활습관을 교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