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성장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최대 관심사는 아이들의 바른 성장이다. 성장기 어린이는 성장판이 열려있어 키뿐 아니라 위아래턱도 성장한다.
이와 관련 비정상적인 턱성장을 방치하면 주걱턱, 무턱, 안면비대칭 등 골격성 부정교합이 심화될 수 있다. 성장기 자녀가 교정치료가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언제 시작하는 게 유리한지 확인하고 싶다면 치과를 찾아 교정진단 및 성장판 검사를 받아보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수원 서울나란이 치과교정과치과의원 오문비 원장은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단계와 골격성 부정교합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턱교정 치료시기는 개인마다 달라진다”며 “이와 관련 수완부(손과 손목) 방사선 사진을 촬영해 성장단계를 분석하는 성장판 검사로 각 어린이에 맞는 최적의 턱교정 치료시기를 결정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주걱턱이라고 알려진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경우 가급적 빨리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위턱 폭이 좁고 앞니가 거꾸로 물리는 경우 그대로 방치하면 위턱 성장을 저해해 주걱턱이 더욱 심화되기도 한다. 이는 치료시기가 늦어질수록 턱교정 치료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오 원장은 “어린이 주걱턱 교정치료를 통해 위턱을 전방으로 견인하고 앞니를 바로 물리게 해주면 성장기에 아래턱이 더 자라더라도 전체교정 시 수술을 하지 않고 치아교정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많다”며 “턱교정 수술을 하더라도 수술의 양과 범위를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최적의 주걱턱 치료 시기는 보통 장치사용에 협조가 가능하고 아래 영구치 앞니 4개가 맹출한 초등학교 1~2학년 시기다. 특히 어린이 주걱턱 교정치료는 상악골 자체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얼굴에도 많은 변화가 생겨 외모가 개선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무턱이라 알려진 골격성 2급 부정교합 치료의 적기는 언제일까. 이런 형태의 부정교합은 위 치아가 많이 돌출되어 있고, 아래 치아는 위로 솟아 있는 경우가 많다.
2급 부정교합 치료는 위턱 성장을 억제하거나 아래턱 성장을 촉진하는 치료다. 따라서 최대 성장기인 사춘기에 맞춰 치료를 시행한다. 여아는 초등학교 4~5학년, 남아는 초등학교 5~6학년이 적절한 시기이지만 아이들마다 키가 크는 시점에는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성장판 검사를 통해 최대성장기가 언제인지 확인하는 게 필요하다. 최적의 시기에 치료하면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고 치료기간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오문비 원장은 “대한치과교정학회에서는 만 6~7세에 교정치과를 찾아 교정검진을 받아보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며 “또 어린이 턱교정을 위해서는 성장판 검사를 동반한 교정진단을 통해 최적의 치료시기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성장기 골든타임에 교정치료를 하면 치료기간은 최소화하고 치료효과와 안정성은 높일 수 있다”며 “최근에는 교정치과에서 인공지능 성장판 검사 프로그램으로 골연령(뼈나이)을 분석하여 골격의 성장단계를 파악하고 성인 예측키까지 분석이 가능하므로, 내 아이의 성장상태와 치아교정 최적의 치료시기를 동시에 확인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hap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