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유방암 항암 치료 여부, ‘온코타입Dx’로 확인

유방암은 한국 여성들이 가장 많이 걸리는 암종으로 매년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유방암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에 따르면, 국내 유방암 진료인원은 2017년 20만6308명에서 2021년 26만9313명으로 6만3005명(30.5%↑)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9%로 나타났다.

 

인승현 천안 미유외과 원장에 따르면 유방암은 암의 상태에 따라 바로 수술을 진행하거나 수술 전 항암 화학제 요법으로 암의 크기를 줄인 뒤 수술한다. 수술 후에는 미세하게 남아 있는 암세포를 제거하고 재발률을 낮추기 위해 항암 치료도 진행하는데, 유방암의 병기 등에 따라 보통 3~6개월 간 진행하게 된다.

다만 항암 치료는 탈모, 전신쇠약, 구역, 손발부종, 각종 장기 기능저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아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다. 인 원장에 따르면 게다가 비교적 초기에 해당하는 1~2기 유방암 환자들은 항암 치료를 했을 때 별다른 효과는 없으면서 부작용만 나타나는 상황이 발생하는 일도 있어 치료를 고민하기도 한다.

 

인승현 원장은 “최근에는 불필요한 항암 치료를 피하기 위해 항암 효과가 낮게 판단되는 유형의 환자들을 미리 분별해 낼 수 있는 ‘온코타입Dx(Oncotype Dx)’ 검사가 시행되고 있다”며 “이 검사는 유방암 환자들의 절제 수술 후 예후를 예측해 항암 치료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유방암 조직에서 21개의 다른 유전자의 활성도를 측정 및 분석하여 유방암이 재발할 가능성과 화학요법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를 알려준다”고 설명했다.

 

검사 대상은 유방암을 처음 진단을 받은 초기 유방암 환자 중 림프절 전이 음성 또는 양성(미세전이, 1~3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HER2 음성인 환자들이다. 검사 결과 유방암 재발 위험도 수치가 낮게 나온 저위험군은 항암 치료를 피하고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만 항암 치료를 시행하는 방식으로 불필요한 항암화학치료 처방을 줄일 수 있다.

 

인 원장은 “온코타입Dx 검사는 유방암 환자에게 좀 더 나은, 부담이 적은, 부작용 없는 치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항암을 진행할지에 대한 가이드가 되어줄 수 있다”며 “검사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을 고려해 볼 때 국내에서도 앞으로 활용도가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조언했다.

 

이어 “다만 온코타입Dx 검사는 검체를 미국 기업으로 보내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결과를 얻기까지 2~3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검사 비용이 비싼 게 단점”이라며 “인종에 따라 예후 예측 정확도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도 있기 때문에, 검사 결과에 대한 해석과 치료 방법은 주치의와 상담한 뒤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