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자 기준은? 100억 이상 및 10명 중 6명은 상속부자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뉴시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부자 연구 지난 10년을 망라한 대한민국 부자보고서 단행본을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단행본에 따르면 부자는 스스로를 부자라고 인식하지 않고 있으며 10명 중 2~3명 정도만 스스로를 부자라고 생각했다. 부자의 기준은 2012년 평균 114억원에서 2021년 187억원으로 증가했고, 매년 변동폭이 컸다.

 

 부자의 자산 기준을 100억원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2020년 28%에서 2022년 46%까지 상승했다. 2022년부터는 부자의 기준을 300억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10%를 넘기 시작해 초고액 자산가가 대두되고 있다.

 

 부자가 보유한 총자산의 절반 이상은 부동산이었다. 해외 부자의 부동산 비중이 15%인 것과 비교하면 3배가량 높았다. 부자의 95%가 자가를 보유하고 추가 부동산을 보유한 비율도 절반을 훨씬 상회했다.

 

 최근 10년간 주택가격이 약 40% 상승했고 부동산 펀드 규모도 7배 이상 성장했음을 고려할 때, 부동산 투자가 부를 일구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자는 높은 수익률보다 잃지 않은 투자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정부 정책을 비롯한 세제 변화, 국내외 투자 환경 변화 등 외부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10% 이상 수익을 낸 부자는 10명 중 3명꼴로 일반인의 2.4배에 달했다. 부자는 팬데믹 초기 유동자금을 확보하고, 주가가 상승하면서 간접투자를 줄이는 대신 주식 비중을 확대했다. 팬데믹이 길어지자 예금, 채권 등 안전자산과 외화자산(달러)으로 관심을 돌렸다.

 

 부자 10명 중 6명이 상속형 부자인 것은 지난 10년간 큰 변화가 없었다. 과거 대표적인 상속·증여 자산의 유형은 부동산이었으나 최근에는 현금·예금 또는 신탁상품을 활용한 증여도 확산하는 추세다. 가족 간 분쟁 없이 안전하게 상속재산을 가족에 물려줄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한 유언대용신탁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었다.

 

 부자 중 40대 이하의 영리치는 부동산보다 금융자산 비중이 높고 10명 중 7명 이상이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등 재테크에 적극적이었다. 영리치의 20%는 가상자산을 보유했다.

 

 금융자산 100억원 이상 또는 총자산 300억원 이상을 보유한 슈퍼리치는 외화자산을 선호하고, 미술품 투자에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