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이 국가유산청이라는 이름으로 새 출발한다.
22일 문화재청은 올해 주요 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문화재청이 내부 조직을 개편해 5월 17일 국가유산청으로 새롭게 태어난다는 게 골자다. 지난 60여년간 이어져 온 문화재 명칭과 분류체계도 바뀐다. 기존의 문화재는 국가유산으로 명칭이 바뀌고 크게 문화유산·자연유산·무형유산으로 분류한다. 문화재청은 이를 위해 조직과 제도를 정비하고 다양한 정책을 발굴하겠다는 방침이다.
각 유산 특성에 맞는 보존·전승 활동도 지원한다. 전통 재료 수급 관리를 위해 올해 경북 봉화에 국가유산수리재료센터(가칭)를 개관한다. 천연기념물·명승·지질 유산을 관리하기 위한 국립자연유산원 설립도 추진한다. 또한 무형유산 전통의 맥이 잘 보존될 수 있도록 전승 기반을 확대한다.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아래 단계인 전승교육사 인정을 위한 조사 대상을 보유자가 추천한 이수자뿐 아니라 일반 전승자까지 포함되도록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미술품 해외 반출 제도도 손질한다. 문화재청은 올해 안에 법 절차를 개정해 1946년 이후 제작된 미술 작품 등은 별도 제한 없이 해외에서 전시·매매할 수 있도록 한다. 그간 미술계에서는 미술품의 국외 반출이나 매매가 제한돼 시장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나오기도 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제작되거나 형성된 지 50년이 지나지 않은 문화유산을 보존·관리할 수 있도록 한 예비문화유산 제도도 새롭게 시행된다. 1988 서울올림픽 개막식에서 깊은 인상을 남겼던 굴렁쇠나 국내 최초의 스마트폰 등이 포함된다면 국가 차원의 관리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문화재청은 5월 공모전을 거쳐 예비문화유산을 선정할 계획이다.
우리 문화유산 보존·환수를 위한 거점도 프랑스 파리에 마련된다. 국외 소재 문화유산의 약 20%가 모여 있는 유럽에서 현지 조사나 보존·활용 논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현지 사무소 등 거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지동현 기자 ehdgus121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