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수협 등 단위조합 대출 400조 육박…최고 연체율 37%

농협중앙회 전경. 농협 제공

 

올해 농협과 수협 등 단위조합의 대출 연체율이 37.6%로 치솟았고, 적자를 본 조합도 늘면서 상호금융 재무 건전성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이 농협중앙회, 수협중앙회, 산림조합중앙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세 개 기관단위 조합의 대출잔액은 모두 391조4490억원이었다. 이는 2021년 말 대비 42조7221억원 늘어난 수치다.

 

단위조합 대출잔액은 매년 증가 추세로 2021년 348조7269억원, 2022년 377조2050억원, 지난해 387조4476억원 등이었으며 올해 6월에는 400조원에 근접했다.

 

대출잔액을 기관별로 보면 농협 단위조합이 348조5498억원(89.0%)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수협 단위조합이 34조1603억원, 산림조합은 8조7389억원이다. 

 

기관별 대출잔액을 지난 2021년과 비교하면 농협은 36조5952억원 증가했고 수협과 산림조합은 각각 4조3004억원, 1조8265억원 늘었다.

 

이 기간 연체율도 가팔라졌다. 농협 단위조합 연체율은 2021년 0.88%에서 올 6월 3.81%로 3년 6개월 새 4.3배로 뛰었다. 이는 국내은행 평균 연체율(0.42%)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농협 단위조합의 최고 연체율은 37.61%에 달했다.

 

같은 기간 수협 단위조합 연체율은 1.64%에서 6.08%로, 산림조합 단위조합은 1.50%에서 5.63%로 각각 높아졌다. 세 기관에서 연체율이 10% 이상인 단위조합 수는 모두 100곳이었다. 농협이 72곳, 산림조합이 19곳, 수협이 9곳이었다.

 

대출잔액 중 연체금은 15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재무 상황 또한 좋지 않다. 지난해 말 기준 산림조합은 140곳 중 64곳(45.7%)이 적자였다. 수협은 24.4%에 해당하는 22곳이 적자를 기록했고 농협의 적자 조합은 19곳(1.7%)이었다.

 

윤 의원은 “이미 부실 수준이 심각한 조합뿐 아니라 잠재적 우려가 있는 조합까지 전수 조사해 정부 차원에서 더욱 철저하게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부실채권 문제도 우려되는 수준이다.

 

같은 당 임미애 의원에 따르면 농협 상호금융의 대출 고정이하여신(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채권) 규모는 지난 6월 말 기준 14조7078억원(채무자 기준 집계)이다. 지난해 12월 10조7265억원에서 6개월 만에 약 4조원이 늘어난 셈이다.

 

수협 상호금융의 경우 고정이하여신은 지난 6월 말 2조448억원으로, 6개월 만에 6114억원 증가했다.

 

임 의원은 “농·수협 지역조합의 금융 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연관 공동대출 등에 대한 부실채권 관리를 엄격히 하고 공동대출의 부당·부실 심사에 대한 책임 규명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