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금융권의 중소기업 대출 시장이 2년 넘게 뒷걸음질 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대출 여파가 가장 큰 원인으로, 이 기간 시중은행은 중소기업 등 기업대출을 늘리며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18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 등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2022년 9월 68조원대에서 올해 1분기 45조원대로 2년 반 만에 3분의 2 수준으로 줄었다.
상호금융권 등을 포함한 2금융권 전체 중소기업 대출 규모 자체는 소폭 늘었지만 증가세는 둔화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2022년 3분기에는 30%를 웃돌았지만 올해는 1%대 안팎으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시중은행은 중소기업 등 기업대출을 늘리는 모습이다.
2금융권의 기업대출이 쪼그라든 가장 큰 원인은 PF 부실 대출의 여파 장기화로, 주로 중소기업 대출로 분류되는 PF 대출 잔액을 대폭 줄이는 가운데 건전성 관리를 위해 다른 기업대출도 보수적으로 운용하면서 2년 넘게 중소기업 대출은 뒷걸음질 쳤다.
금융당국의 새 수장들이 생산적 금융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며 중소·벤처기업 등으로 자본 공급을 늘리겠다고 강조했지만 2금융권에서 단기간에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업권은 최대 26조원이었던 PF 대출 잔액이 최근 10조원대로 줄어든 것이 그 배경을 말해주고 있다.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4일 취임사에서 “모험자본 공급펀드, 중소기업 상생지수 등을 도입해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겠다”면서 “자본시장의 자금 공급 기능을 강화해 기업이 성장 자금을 시장에서 원활히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도 부동산과 예금대출 위주의 자본 흐름을 바꾸는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한국금융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상호금융권 중소기업대출의 96.5%, 저축은행 중소기업대출의 86.4%가 담보대출로 나타났다.
담보대출 중에서도 부동산 담보 대출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등 기업의 신용도나 역량을 평가해 대출이 진행되는 생산적 금융과는 거리가 멀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금융회사들이 부동산 담보에 집중하는 데서 벗어나 사업성 평가 및 심사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이러한 역량이 대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책보증 체계를 민간 금융회사들의 심사 역량 제고와 연계하고, 민간 금융회사가 지원할 수 있는 기업들에 민간 금융회사들이 적극적으로 자금을 공급하고 사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